시민단체, 1만 서명 고용부·道 전달
지난달 불완전 숙소서 사망사건도
“전수조사·개선 약속 안 지켜졌다”

“집 같은 집을 보장하라.”
경기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비닐하우스·가건물 등 여전히 열악한 주거여건에 허덕이는 이주노동자들의 환경 개선을 촉구하며 거리로 나왔다. 이들은 1만명 넘는 시민으로부터 ‘이주노동자에게 인간다운 집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서명을 받아 이를 경기도와 고용노동부에 전달하고 실효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경기이주평등연대, 이주여성인권포럼, 난민인권센터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11일 오전 고용노동부 경기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명을 받는 동안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비닐하우스, 컨테이너를 비롯한 임시가설건축물에 사람이 살고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는 시민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며 “법으로 금지된 이런 건축물들을 숙소로 사용하도록 방치한 데 정부의 책임이 있다”고 규탄했다.
이들은 4년여 전 겨울 포천의 한 비닐하우스에서 캄보디아 이주노동자 속헹이 자다가 숨진 사건 이후에도 현장은 크게 변한 게 없다고 주장했다. 지난 2월에는 평택의 한 외국인 기숙사에서 인도네시아 국적 후센이 일산화탄소 중독 추정으로 사망(2월 24일 7면 보도)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후센이 동료와 함께 지냈던 방은 창문을 열면 보일러실로 연결돼 환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등 불완전 숙소였다.

이들은 이날 오후 경기도의회로 자리를 옮겨 도와 의회를 향해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 단체는 “경기도는 ‘속헹 사망 사건‘ 이후 이주노동자 숙소를 전수조사해 개선하겠다고 했지만 예산 등의 문제를 이유로 제대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며 “전근대적인 가설건축물을 방치해 온 것에 책임이 있는 도와 의회는 반성해야 하고 이 문제를 묵인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안전하지 못한 이주노동자들의 생명을 구해달라’, ‘이주노동자들은 야생동물 같은 대우를 받고 있다’ 등 지역 시민·이주노동자 1만명 이상의 목소리가 담긴 서명지를 도와 노동부 관계자들에게 전달했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