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석방됐다. 체포된 지 52일만이다. 그의 석방으로 대한민국 정치의 불확실성은 커졌다. 탄핵 찬반으로 갈라진 한국 사회의 양극화 문제는 한층 더 격화됐다. 여당은 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을 검찰에 고발하고, 야당은 심우정 검찰총장을 공수처에 고발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여야 간 비판 강도는 비난에 가까울 정도로 거세졌고 극렬 지지층의 목소리는 다수를 대변하듯 광장에 울려 퍼지고 있다. 이를 중재해야 할 정치권은 오히려 더욱 부추기고 있다. 불확실한 미래에 끝이 보이지 않는다.
이 가운데 조기 대선을 노리는 대권 주자들의 움직임은 더욱 분주해졌다. 야권의 플랜B로 꼽히는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그중 하나다. 김 지사는 광주, 대구 등 비수도권 지역을 누비며 활발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가는 곳마다 제7공화국, 계엄 대못 개헌, 권력구조 개편 등 자신의 정치적 비전을 제시하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최근 윤 대통령의 석방 관련 강한 어조를 사용해 검찰과 여당을 비판하며 정치적 이슈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지난 10일에는 수원역 로데오거리에서 윤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이며 탄핵 인용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다만, 김 지사의 메시지에서 경기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드는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 경기국제공항, 공공기관 북부이전, K컬처밸리 재착공 등 도 현안이 산적해 있지만 김 지사의 메시지는 중앙 정치에 집중된 듯하다.
경기도지사직이 대선을 위한 발판으로 작용하는 듯한 모습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 대선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대선 본선에 진출하며 경기도지사직을 사퇴했고,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도 2017년 대선 경선에 참여하기도 했다. 대선에 참여하는 것은 개인의 자유지만 그 속에서 경기도가 뒷전이 되는 모습은 도민의 한 사람으로서 아쉬울 따름이다. 인구 1천400만 광역자치단체이자 대한민국의 축소판인 경기도를 책임지는 경기도지사직이 대선을 위해 거쳐가는 자리가 되진 않길 바란다.
/김태강 정치부 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