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더하고 적절한 보상 제공

경쟁 요소보다는 협력 요소 강조

주민자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즐거움을 더하고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는 ‘게임 요소’를 도입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레벨업! 게임화를 활용한 주민자치 활성화’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통상적으로 지역공동체에 참여하는 주민은 극소수이고, 그마저도 주민자치조직에 참여하는 연령은 50대 이상이 86.6%를 차지할 만큼 고령화된 상황이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그동안 이뤄졌던 주민자치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연구에서 나아가 참여해야 하는 이유에 집중해 분석을 진행했다.

경기연구원은 게임 요소를 도입해 주민자치 시대를 열자고 제안했다. 임무 해결, 타인과의 협력, 가치에 맞는 행동 수행 등의 내재적 동기와 상품이나 금전 보상 등 외재적 동기가 함께 작용되면 참여율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물론 이미 ‘안전신문고’ 등의 공공앱에서 신고자 포상 등이 진행됐지만, 지속적인 동기 부여가 미흡해 성공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게임요소를 정교하게 배치해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공공가치와 보상의 연계, 다양한 게임요소 간 연계, 경쟁요소 활용, 성취감과 의무감 자극, 빈번하고 작은 보상 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공익 개념을 살려야 하기 때문에 게임의 경쟁적 요소보다는 협력적 요소 쪽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과도한 경쟁은 부작용을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간 경쟁을 아이디어 간 경쟁 구도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최초 아이디어에 대해 다른 참여자들이 협력적으로 추가 제안을 하면 보상을 제공하는 등, 아이디어 내 협력을 유도하자는 것이다.

또한 주민자치회부터 게임화를 시작해 의제발굴 및 주민총회 참석과 주민자치회 분과 참여를 격려하고, 실효를 거두기 위한 역할분담도 적시했다. 주민자치회 위원은 게임의 설계 및 운영을,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는 행정적 지원을, 시군구는 이 둘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자는 의견이다.

황태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주민자치회 게임화로 동기를 부여하면 일반 주민의 참여도를 높여 주민자치회의 실행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모바일 앱과 게임에 익숙한 청년층의 주민자치회 참여를 유도해 모든 연령대가 고루 참여하는 주민자치회의 대표성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