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장애인구 중 60세 이상 61.3%

고령 장애인 위한 일자리 턱없이 부족

맞춤형 일자리 확대, 고용 질적 향상 필요

경기복지재단이 14일 발표한 복지이슈 포커스 5호 /경기복지재단 제공
경기복지재단이 14일 발표한 복지이슈 포커스 5호 /경기복지재단 제공

경기복지재단이 경기도 장애인구의 고령화가 심화됨에 따라 이들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를 발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경기복지재단은 14일 ‘경기도 장애인구 고령화와 장애인일자리정책의 대응과제’라는 주제로 복지이슈 포커스 5를 발표했다.

경기도는 장애인구의 급격한 고령화와 함께 일자리의 질적 편차, 지역 불균형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2023년 기준 경기도 장애인구 고령화 수준은 60세 이상 고령층의 비중(61.3%)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경기도 장애인 고용환경의 두드러진 특성은 주로 신체적 장애를 가진 지체 장애인이 많았다. 노동시장 참여의 제약과 대도시 중심의 쏠림현상과 함께 복지형 일자리에 집중되는 경향도 나타났다.

하지만, 도내 고령 장애인을 위한 일자리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단순노무 중심의 저임금 일자리가 대부분으로 고령 장애인의 안정적인 소득보장에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고 재단은 지적했다.

이에 재단은 ‘고령 장애인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일자리 개발 및 확대’, ‘전 생애주기를 고려한 통합적 장애인고용지원 체계 구축’, ‘장애인고용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직업능력 개발 강화’, ‘고령 장애인 맞춤형 디지털 역량강화 및 비대면 일자리 확대’ 등을 제안했다.

또한, 고령 장애인을 위한 특화된 일자리 발굴과 함께 안정적인 소득활동 보장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용빈 경기복지재단 대표이사는 “장애인구 고령화에 따른 신규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발굴과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도내 장애인에 대한 경기도 차원의 정책적 지원 확대가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광역 단위 장애인고용 종합지원시스템 구축, 경기도형 장애인 생애주기별 자립지원 플랫폼 구축 등 도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