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고용주 등 100여명 세미나

경기도가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접어든 가운데, 실용적인 ‘한국어교육 모델’을 모색해보는 공론장이 열렸다.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경기도민과 이주민 간 상호문화 이해증진과 실용적 한국어교육 강화를 위한 세미나가 개최됐다. 국제사이버대학교에서 주관한 이날 행사에는 김대식·김문수 국회의원과 홍승정 국제사이버대 총장, 공병영 한국원격대학협의회장, 기업교육 관련학계 전문가 및 연구자, 외국인근로자 고용주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지난해 6월 기준 국내 체류 이주민은 총 26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5%를 차지하고,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안산·화성·시흥·수원·부천시 순으로 이주민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국 다문화가정 학생의 7.7%인 5만3천837명이 경기도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처럼 경기도에 다인종·다문화가 집중된 데 비해 다문화가정 학생의 미진한 한국어 숙달도는 학업 성취도에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특히 학력격차 심화나 학교 부적응 등 문제가 갈수록 심화하는 실정이다. 세미나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혁신적인 교수 방법, 타 지자체 확산이 가능한 선도적인 한국어교육 방안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김지선 경기도교육청 장학사는 ‘이주 배경 학생의 한국어 집중 교육을 위한 경기한국어랭기지스쿨’, 김응조 동국대 교수는 ‘외국인 근로자 전용 AI 활용 한국어교육 앱’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이어 유정균 경기연구원 인구영향평가센터장, 염경미 안산 관산중 교사, 구대완 화성상공회의소 회원사업본부장, 장인실 경인교대 교수가 패널로 나서 열띤 토론을 펼쳤다.
/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