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사칭 후 비밀 유지 유도

악성앱 설치로 범죄 연결까지

 

군포서, 앱 삭제 등 피해자 보호나서

“전 보이스피싱 사기를 당한 적이 없는데요?”

지난 14일 오전 11시께 군포시 산본동의 한 은행지점에서 경찰로 다급한 112신고 전화가 걸려왔다. 은행원이 “고객이 돈 2천500만원을 한꺼번에 인출하려 한다”며 보이스피싱 피해 의심 신고를 한 것이다.

군포경찰서 형사과 강력팀 형사들이 보이스피싱 범죄를 직감하고 현장에 출동했을 때 피해자 60대 여성 A씨는 처음에 “보이스피싱을 당한 적 없다”며 “단지 돈을 찾아 집에 보관만 하려고 한다”고 둘러댔다. 자신을 ‘검찰’로 지칭한 피싱 범죄자가 A씨에게 인출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말라고 당부한 탓이었다.

형사들은 A씨가 대화를 중단하고 자리를 뜨려 하자 “검사나 금융감독원을 지칭하며 인출을 유도하는 건 사기범죄”라며 그를 다독였다. 그제서야 A씨는 “‘검찰’에서 비밀 유지하라고 해서 아들에게도 말을 못했다”라며 “피해를 막아줘서 감사하다”고 말했다.

출동한 형사들이 피해자의 휴대전화를 확인한 결과, 악성앱 2개, 원격앱 1개 등 보이스피싱 범죄로 연결될 위험이 큰 애플리케이션이 여러 개 설치된 상태였다. 탈북 여성인 A씨가 그동안 어렵게 모아 놓은 재산을 보이스피싱 범죄로 한순간에 잃을 뻔한 위험을 은행과 경찰이 막은 것이다.

군포경찰서는 A씨 등 금융취약층의 보이스피싱 피해를 막기 위해 지난해 2월부터 ‘보이스피싱 전담팀’을 신설, 범죄에 대응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군포서는 지난해에만 총 65건(피해금액 19억)의 보이스피싱을 검거했다. 아울러 올해 1분기에는 30명의 보이스피싱 전달책 등을 검거하는 성과를 거뒀다. 악성앱 설치로 피해가 우려되는 시민들을 직접 만나 앱 삭제조치 등을 통해 피해자 보호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군포서는 관내 금융기관 상대로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활동을 하며, 이들과 신고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관내 곳곳의 버스정류장과 군포시청 민원실에서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영상을 상시 틀어 피싱 범죄로부터 시민들을 지키는 데에도 힘쓰고 있다.

김평일 군포경찰서장은 “보이스피싱 전담팀 운영으로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보이스피싱 범죄에 더욱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즉각적 현장 대응으로 피해 예방 및 구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수현·황성규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