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국가 지정 정부 늑장대응 질타

지난 정부 트럼프 상대 경험 상기

‘경제전권대사’ 임명 대처 등 촉구

17일 오후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열린 2025년 3월 도정열린회의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4대 현안 추진상황 보고 및 기타 현안 논의를 하고 있다. 2025.3.17 /경기도 제공
17일 오후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열린 2025년 3월 도정열린회의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4대 현안 추진상황 보고 및 기타 현안 논의를 하고 있다. 2025.3.17 /경기도 제공

미국이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민감국가·SCL)에 추가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지고 말았다”며 정부의 늑장 대응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본인이 이전부터 주장해왔던 트럼프 2기 대응을 위한 ‘경제전권대사’를 임명해 지금이라도 대처에 나서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김 지사는 17일 경기도 북부청사에서 도정열린회의를 열고 “최근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했다는 것까지 드러나면서 경제에도, 사회에도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불안감을 주고 있다”며 “지금 서로 네 탓 내 탓 할 때가 아니다. (민감국가 지정) 효력 발생이 다음달 15일이라고 하니까 그 전에라도 경제전권대사를 빨리 임명해 비상대응을 하도록 정부에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발 퍼펙트스톰이 지금 몰려오고 있고 앞으로 관세 압박이나 경제·외교·국방에 어떤 압력과 불안이 올지 걱정된다”며 “지난 정부에서 경제부총리로서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해 본 경험이 있다. 막무가내 식으로 보이지만 실리를 추구하는 지도자의 인상을 받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경제전권대사를 통해 대처하고 수출방파제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서 김 지사는 추경 편성 촉구도 잊지 않았다. 그는 “탄핵 정국이 장기화하면서 민생 현장이 숨 넘어갈 지경”이라며 “경기도는 이미 추경 편성에 들어갔다. 정부의 추경이 있어야 경기도 추경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경기도는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경을 편성해 경제 재건을 위해 매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포천시 전투기 오폭 사고와 관련해서는 “현재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이 동시대행체제인 초유의 상황이라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정부를 지적하는 한편, “우리 경기도는 중심을 잡고 피해자 일상 회복, 민생 회복, 경제 살리기에 역량을 동원해 주시길 바란다”고 직원들을 향해 당부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김 지사는 돌봄, 기후, 사회통합, 안전 등 4대 현안을 점검했다.

그는 “4가지 현안은 탄핵 이후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우선 갖춰야 할 과제들”이라며 “중앙정부가 역주행하고 있는 것들을 경기도는 정주행하고 있다. 우리 모두의 나라, 내 삶의 선진국은 경기도에서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