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대생들이 3월 내에 전원 복귀한다는 조건으로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천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수용하기로  했다. 10일 오후 경기도내 한 의과대학 내부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5.3.10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정부가 의대생들이 3월 내에 전원 복귀한다는 조건으로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천58명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수용하기로 했다. 10일 오후 경기도내 한 의과대학 내부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5.3.10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의과대 휴학사태 역시 이번 주 분수령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1일이 복귀 시한이었던 연세대와 고려대의 경우 휴학한 의대생들의 절반 정도가 복학 신청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복학 신청을 마감한 의대들은 곧 미등록 학생에 대한 처분 작업에 들어간다. 연세대는 미등록자를 오는 28일 제적 처리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나머지 의대들의 복귀 데드라인 또한 아무리 늦어도 이번 주 금요일과 다음 주 초다.

의대생들의 교실 복귀와 제적 여부는 의정갈등을 마무리 짓는 계기가 될 수도 있고, 더 큰 불길을 일으킬 수 있는 화목(火木)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지켜보는 국민들의 마음이 아슬아슬하다. 당장 학생들의 집단 제적을 막는 차원에서라도 연세대를 비롯한 일부 의대생들의 복학 신청 움직임은 좋은 소식이다. 그동안 꿈쩍도 않던 학생들에게 변화가 보이는 건 긍정적인 신호다. 명분과 논리를 떠나서 학생들이 교실로 돌아오는 건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다. 다투더라도 학교 안에서 배움터를 지켜가며 대안을 제시하고, 다툼의 상대와 간극을 좁혀 나가는 것이 학생들에게 합당한 태도다.

국민 정서상으로도 더 이상 유보하고 배려하며 지켜봐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더 끌다간 우리 사회의 가장 민감한 부분인 공정과 형평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의대생이 아닌 타 전공 대학생들에겐 이미 그렇게 비쳐지고 있다. 비록 소수 목소리이긴 하지만 지난 17일 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의 교수 4명이 낸 성명엔 그런 국민들의 정서가 반영돼 있다고 본다. 이들 교수는 “현재의 투쟁 방식과 목표는 정의롭지도 않고, 사회를 설득할 수도 없어 보인다”면서 “사직과 휴학을 스스로 선택한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아닌, 이들이 1년간 외면한 환자와 그 가족들이 피해자”라고 지적했다.

의정갈등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우리 사회는 이미 엄청난 출혈을 겪고 있다. 올해 신규 의사 배출은 예년의 10분의1에도 못 미치는 형편이다. 전공의들이 떠난 자리를 메우기 위해 투입된 정부 재정이 3조5천억원이다. 앞서 용기 있는 교수들의 질타대로 환자들과 그 가족, 다시 말해 온 국민이 최대 피해자가 됐다. 이 소모적인 다툼을 끝내기 위해 이번엔 의대생들이 스승들을 좇아 용기 있는 결단을 내려줄 것을 바란다. 앞선 세대로서 부끄럽기 그지없는 요청이나 기성세대가 제대로 해내지 못하고 있는 게 당면의 현실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