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국가 지정에 ‘서한 외교’ 눈길

“새로운 제한, 파트너십 영향 없어”

주요국 대사 등 관계자 면담 방침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0일 오후 수원역 로데오거리문화광장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규탄하는 1인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2025.3.10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0일 오후 수원역 로데오거리문화광장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규탄하는 1인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2025.3.10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서한 외교’로 눈길을 끌었던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재차 미국 주지사들에 편지를 보냈다.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분류하면서 대내외적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야권내 플랜B인 김 지사가 대권행보 속에 현직이라는 장·단점을 활용·보완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김 지사는 지난 22일 미국 유타, 버지니아, 플로리다, 텍사스, 미시간,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워싱턴, 뉴욕, 아칸소 등 미국 내 교류 10개 지역 주지사와 샌디에이고 시장, 전 미국 국가경제위원회장인 게리콘 IBM 부회장 등에게 편지를 보내 민감국가 지정에 대한 관심과 교류협력 강화를 당부했다.

해당 편지에서 김 지사는 “양 정부가 긴밀한 협의를 하고 있으며 새로운 제한이 우리의 파트너십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문제가 신속히 해결될 것으로 믿으며, 주지사님이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며 “한국 경제 및 산업 중심지인 경기도와 주 정부간 경제·기술 파트너십은 확고한 신뢰와 상호 이익을 통해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지난해 비상계엄·탄핵 사태 때도 전세계 외국 정상·주요 인사들에 긴급 서한을 보내 한국의 경제 회복력을 강조하는 등 글로벌·경제 리더로서의 강점을 드러낸 바 있다.

추후에도 미국 등 주요 국가의 대사, 상공회의소, 투자은행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지속해 신뢰 구축과 경제 협력 강화를 위한 외교 행보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