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도 흔한 ‘어깨 경직’… 17% 정도 차지
외상 없이 통증·운동 제한… 젊은 나이에도 발생
50대쯤 나타나 생긴 이름, 진단명 ‘유착성 관절낭염’
진행 3단계 통증-동결-해빙… 온열치료 등 도움돼

‘오십견’은 중장년층만의 질환이 아니다. 흔히 50대 전후에 발생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 질환의 의학적 진단명은 ‘동결견’(Frozen Shoulder) 또는 ‘유착성 관절낭염’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지난 2023년 통계를 보면 오십견은 전체 환자 중 30~40대 비율이 약 17%를 차지하는 등 비교적 젊은 나이에도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인하대병원 정형외과 전윤상 교수는 “오십견은 외상 없이 어깨 통증과 운동 제한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다른 어깨 질환과 비교했을 때 통증이 특히 심하고 일상생활의 제한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며 “초기 증상을 방치하면 회복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십견 진행은 일반적으로 세 단계로 나뉜다고 한다. 통증기(3~6개월) 단계에서는 어깨 관절에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동결기(6~12개월) 단계에선 어깨 관절의 운동 범위가 현저히 감소한다. 통증은 점차 완화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어깨의 경직이 심해진다. 해빙기(12~24개월, 경우에 따라 36개월까지 지속) 단계에선 경직되었던 관절이 점진적으로 풀리면서 운동 범위가 회복된다.
전 교수는 “회전근개 파열 등 다른 어깨 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다”며 “회전근개 파열의 경우 특정 동작에서 힘이 빠지거나 근력이 저하되는 반면, 오십견은 모든 방향의 어깨 움직임이 제한되고 특히 수동적 움직임에서도 저항이 크다는 점이 차이점”이라고 했다.
오십견은 외상, 수술 후 부동(Immobilization), 특정 전신 질환과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특히 당뇨병 환자의 오십견 발생률은 10~36%로 높으며, 이 외에도 갑상선 질환, 파킨슨병, 심장질환, 뇌졸중 등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한다.
오십견의 치료 원칙은 비수술적(보존적) 치료가 우선이며, 핵심은 점진적인 관절운동 범위 회복을 위한 스트레칭 운동이다. 운동 요법으로는 손을 벽에 대고 점진적으로 올리는 ‘벽 타기 운동’, 팔을 외회전·내회전시키는 스트레칭 등이 대표적이다.
온열 치료(찜질, 더운물 목욕), 체외충격파 치료, 도수 치료는 통증 완화와 관절기능 회복에 도움이 된다.
전 교수는 “필요 시 비스테로이드성소염진통제(NSAIDs) 또는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를 고려할 수 있다”며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 호전이 없거나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이 있는 경우, 관절경을 이용한 관절낭 유리술(Capsular Release)을 시행할 수 있다”고 했다.
오십견 예방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스트레칭과 올바른 자세 유지가 필수다. 통증이 시작되는 초기 단계에선 전문의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임승재기자 i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