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경각심 커진 와중에 벌목된 나무들 방치

산불 발생 시 ‘불쏘시개’ 될 수 있다는 우려

영농부산물 소각 등도 여전…“안전불감증”

26일 오후 수원시 팔달산에 벌목해 쌓아 둔 나무 더미가 방치돼 있다. 2025.3.26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26일 오후 수원시 팔달산에 벌목해 쌓아 둔 나무 더미가 방치돼 있다. 2025.3.26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영남지역 산불이 닷새째 이어지며 산불에 대한 경각심이 커진 와중에, 벌목 후 쌓아 놓은 나무들이 산불 발생 시 불쏘시개 역할을 해 피해를 키운다는 지적이다. 경기도 내 야산 곳곳에도 벌목해 쌓아 둔 나뭇더미가 방치돼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영농부산물 소각 등도 여전해 우려가 큰 실정이다.

26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영남지역 산불에 따른 피해가 늘고 있는 와중에, 경기지역에서도 산불이 발생했다. 이날 오후 1시 52분께 용인시 하갈동의 한 야산에서, 2시 27분께엔 파주시 장곡리에 있는 한 야산에서 불이 났다.

이런 가운데 도내 야산 곳곳에 벌목된 나무들이 사실상 방치된 채 쌓여 있어 화재 시 대형 산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수원시 팔달산 등산로 주변에는 지난해 11월 폭설로 쓰러진 소나무를 벌목한 뒤 쌓아 둔 나뭇더미가 화재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었다. 지난 2월부터 팔달산 재해 복구 공사의 일환으로 폭설 피해를 입은 소나무 2천300주를 벌목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벌목한 1천300주 중 차량 진입이 불가능한 곳은 소나무를 쌓아 놓은 실정이다.

다른 곳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 중론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벌목한 나무들을 작업자가 옮길 수 없는 경우 그대로 쌓아 놓을 수 밖에 없다”면서 “나뭇더미가 산불 발생 시 불쏘시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는 건 알지만 딱히 처리할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나뭇더미들과 함께 영농부산물 소각 등도 화재 원인으로 꼽히지만 개선되지 않고 있다. 광교산 일대를 관할하는 산불감시원들은 “농사 짓는 분들이 보는 눈이 없다 싶으면 밤낮 가릴 것 없이 영농부산물을 태운다”며 “영남 지역이 산불로 난리가 났는데도 등산로에서 버젓이 흡연하는 분들도 있다. 안전불감증은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산불 279건 중 논·밭두렁 및 쓰레기 소각 등 실수로 난 불이 절반 이상인 144건이었다.

전문가들은 산불 발생 요인과 관련, 사전에 철저한 관리·감독이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한국은 행위의 고의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처벌이 약하기 때문에 산불에 대한 인식이 안일하다”며 “관련 처벌을 강화하고 산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들을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주영기자 mang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