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까지 10년차 미만 대상 공모… 기존 대면회의 운영방식서 변화

경기도 레드팀이 경기도정에 제대로 ‘쓴소리’할 수 있도록 익명 오픈채팅방을 활용하기로 했다.

김동연 도지사 취임 이후 ‘접시깨기’ 행정을 해보겠다는 취지로 도입됐지만 4기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된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지적(2024년 10월 28일자 3면 보도)에 레드팀 운영에 변화를 꾀하고 나선 것이다.

미흡한 정책 제안, 쓴소리 한계… 흐지부지된 '경기도 레드팀'

미흡한 정책 제안, 쓴소리 한계… 흐지부지된 '경기도 레드팀'

는 이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27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 레드팀은 1·2·3기를 거쳐 지난달까지 4기 활동을 마쳤다. 지난 4월부터 활동을 시작한 레드팀 4기는 11번의 회의를 통해 경기도 AI 관련 정책 등에 대한 의견을 냈다.레드팀은 도민의 입장에서 비판적인 시각으로 도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조직이다. 경기도청과 산하 공공기관 직원들을 대상으로 내부 공모로 팀원을 모집한다. 지난 2022년 9월부터 레드팀 1기 첫 회의가 시작됐다.애초 레드팀은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도정을 뒤집자는 포부로 출발했다. 김 지사는 "도청 내부에 쓴소리를 전담하는 레드팀을 만들겠다"며 "(레드팀을 통해) 공직사회를 바꿔보고 싶다. 누가 시켜서 정해진 일을 하는 게 아니라 작은 것이라도 바꾸고 뒤집는 시도가 많이 일어났으면 한다"고 말했다.그러나 레드팀은 그동안의 정책을 유의미하게 발전시킬만한 제안을 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 표 참조 레드팀 1기의 1호 안건은 '청사 내 일회용품 제한'이었고, 다음 회의에서는 반려동물 테마파크 조성에 관한 정책을 제안했다. 레드팀 2기 또한 개인 숙박업체 물놀이시설 무료 수질검사, 층간소음 갈등 최소화를 위한 정책, 양평 고물상 1천200여마리 개 사체 발견에 따른 대책,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개선 등에 관한 정책 논의에 그쳤기 때문이다.이에 레드팀 3기는 '잔반 줄이기 실천 캠페인'을 제안함은 물론 김 지사를 향해 '관행적인 주간업무보고서 작성', '도지사 참석 행사·일정의 잦은 변경'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는 등 조직문화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특히 '쓴소리 청취 및 도지사 답변 시간'을 따로 마련하기도 했다.경기도 관계자는 "레드팀의 활동은 레드팀 취지상 경기도에서 관여하는
https://www.kyeongin.com/article/1715046

경기도는 지난 24일부터 오는 28일까지 내부 공모를 통해 경기도 레드팀 5기 신청을 받고 있다. 모집 대상은 경기도청 소속 7급 이하 10년차 미만 공무원이다. 15명 내외로 구성할 계획이다.

그간 레드팀 제안으로 이뤄진 경기도 정책은 청사 내 일회용품 제한, 반려동물 테마파크 조성, 잔반 줄이기 실천 캠페인 등이 있다. 레드팀 3기가 김 지사 행사·일정 변경이 잦다며 개선을 요구해 눈길을 끌기도 했었다.

그러나 단순 정책 제안 그 이상을 보여주진 못한다는 비판이 꾸준했다. 당초엔 ‘도정을 뒤집자’는 김 지사 주문과 함께 출범한 것이지만, 포부와는 달리 차별화를 크게 이루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런 점을 고려해 경기도는 보다 거침 없는 변화가 레드팀을 통해 이뤄질 수 있도록 운영 방식을 바꾸기로 했다. 익명 제도를 강화해 직원들의 솔직한 목소리를 들어보기로 한 것이다. 이에 신설되는 5기부터는 대면 회의가 아닌 익명 오픈채팅방을 통해 의견을 공유하기로 했다. 또 이전까지는 도청 5급 이하 직원 및 공공기관 차장급 이하 직원이면 참여할 수 있었지만 대상을 더 좁혀 7급 이하 10년차 미만 직원까지만 참여 가능토록 했다.

도는 28일까지 모집한 후 신청 동기 및 관심 분야를 기반으로 팀원들을 최종 선정해, 다음 달 중순께부터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정책 제안, AI(인공지능) 행정 등 행정 혁신 아이디어, 조직 문화 개선점에 대한 보다 진솔한 의견을 듣기 위해 운영 방식을 변경하려는 것”이라며 “10년차 미만 공무원의 퇴사율이 높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어, 이들이 목소리를 내는 데 부담을 덜자는 취지도 있다. 내부 익명 게시판인 ‘와글와글’도 있지만 차별성을 두고 운영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