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생산 구입땐 세금공제 입법화도

車수출 51조 ‘전세계 수출액 절반’

국내 생산 줄일수 밖에 없는 상황

수출 전진기지 경인지역 ‘큰 악재’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 자동차 수출의 큰 타격이 예상되는 한국지엠. /경인일보DB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 자동차 수출의 큰 타격이 예상되는 한국지엠. /경인일보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미국에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오는 4월 3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하면서, 자동차가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우리나라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특히 경기도·인천시는 자동차 수출의 전진기지 역할을 하고 있어, 지역경제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치게 될 전망이다.

미국이 이처럼 관세 전선을 자동차까지 확대하는 것은 외국 자동차 회사들의 미국내 생산을 늘리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부과와 함께 미국에서 생산된 자동차에 한해 구입시 대출을 받았을 때 이자 전액을 세금 공제 대상에 포함하는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도 밝혔다. 그는 “외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로 연간 1천억 달러(약 147조원)의 세수 증가를 기대한다”고 말하면서 관련 포고문에 서명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동차가 대미 수출품 가운데 가장 비중이 커서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규모는 347억4천400만 달러(약 51조원)에 달하며, 이는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자동차 수출 규모(707억8천900만 달러)의 거의 절반( 49.1%)을 차지한다.

지난해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의 수출량은 97만대 정도이며, 한국GM의 수출량은 41만대 가량으로 집계됐다.

결국 이같은 관세폭탄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국내 생산을 줄이고 미국 내 생산을 늘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은 지난 24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미국내 투자와 생산 비중을 높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7일 자동차 관세 부과와 관련해 “우리 핵심 산업인 자동차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상황으로 기업들과 공동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서울공관에서 경제6단체장과 만난 자리에서 “정부는 현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대한민국의 국익과 산업을 지키기 위해 모든 지혜와 역량을 쏟아붓겠다”며 “통상전쟁의 상황에서 우리 기업을 최우선으로 보호하기 위해 기업과 함께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맞춤형 기업지원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이 가진 모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미국 정부와 소통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비상이 걸린 우리 정부는 다음달 중 자동차 산업 비상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김태성·정의종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