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1261건, 전국 시·도중 최다

쓰레기·논·밭두렁 소각 등도 원인

3~5월 집중단속·감독 필요성 제기

영남권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의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내 산림지역 인근에서 흡연과 쓰레기 소각 등이 버젓이 자행되고 있다. 27일 오후 수원시 장안구 광교산 입구에서 관계자들이 산불진화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2025.3.27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영남권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의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내 산림지역 인근에서 흡연과 쓰레기 소각 등이 버젓이 자행되고 있다. 27일 오후 수원시 장안구 광교산 입구에서 관계자들이 산불진화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2025.3.27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산불 발생 압도적 1위 경기도, 언제나 시한폭탄?’

역대 최악으로 갱신된 경상권 산불이 1주일 가까이 지속되면서 경기도 지역의 대형 산불 위험성 경고 역시 커지고 있다.

최근 10년간 도내 산불 발생 빈도가 현재 피해 중심지인 경북보다 25% 이상 높은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도내 입산객이 늘어나고 각종 소각 행위가 지속되는 만큼, 정부와 지자체의 산불 관리·감독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산림청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4년까지 10년간 도내에서 발생한 산불은 1천261건으로 전국 시·도 중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5천668건)에서 유일하게 1천건이 넘고, 이번 사고로 40명 이상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경북 지역(924건)보다 26% 이상 많은 수치다. 3~4번째로 발생 건수가 많은 강원(784건)과 경남(506건) 지역을 합친 것보다 많다.

10년간 도내 피해 면적은 498.72㏊로 규모는 발생 빈도에 비해 적었지만, 대형 산불로 커질 위험은 반복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최근 높은 접근성으로 도내 입산객이 많아지고, 도농복합도시 특성상 논·밭두렁, 쓰레기 등의 소각 활동이 이어지고 있는 점이 도내 산불 발생 빈도와 규모를 키우는 주된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영남권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의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내 산림지역 인근에서 흡연과 쓰레기 소각 등이 버젓이 자행되고 있다. 27일 오후 수원시 장안구 광교산 초입에 산림 내 흡연 및 취사 금지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2025.3.27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영남권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의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내 산림지역 인근에서 흡연과 쓰레기 소각 등이 버젓이 자행되고 있다. 27일 오후 수원시 장안구 광교산 초입에 산림 내 흡연 및 취사 금지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2025.3.27 /이지훈기자 jhlee@kyeongin.com

실제 산림청이 조사한 같은 기간 산불 발생 원인 1위는 입산자의 실화(33%)다. 쓰레기 소각(13%)과 논·밭두렁 소각(12%) 역시 가장 큰 원인으로 조사됐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논·밭두렁 소각을 하다가 인근 산으로 옮겨붙는 사례가 도내에선 빈번하게 일어난다. 산불이 자연발화가 아닌 대부분 입산자의 실화 등으로 발생하는 만큼, 인구 밀집이 커 위험성도 높고 관련 신고나 출동도 많은 상태”라고 말했다.

이에 등산객이 몰리는 3~5월 시기에 집중 단속과 감독 상시 운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도는 최근 산불 피해가 확산하자, 31개 시군에서 신속대응반을 구성하고 입산 길목에 배치, 불법 소각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용재 경민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는 “경기도가 산불이 가장 많은 지역인 이유는 결국 사람이 많은 곳에 산불 위험이 높다는 것”이라며 “3~4월은 날씨가 따뜻해지며 등산객과 성묘객들도 몰린다. 반면 건조한 날씨도 이어지며 산불 가능성도 커진다. 산불 감시용 CCTV와 기술이 늘고 있지만, 특정 시기마다 인기가 높은 산의 입구와 길목에 직접 인력을 배치해 화기를 수거하는 등 직접적 감독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