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사, 28일 장애 학생 취업동아리 방문
장애청년 만나 소통… 2년 전 약속 지켜
道, 장애인 누림통장·기회소득 등 시행 중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도내 장애 학생 취업동아리를 찾아 경기도 차원의 장애인 채용을 확대할 것을 약속했다.
김 지사는 28일 용인시에 있는 강남대학교 장애 학생 취업동아리(I-CUBE)를 찾아 장애 청년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I-CUBE는 강남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 학생 6명으로 구성된 취업 동아리로 장애 학생에게 희망 직업 준비와 진로 계획 설계 등을 지원하고 있다.
김 지사는 “우리나라가 지속 가능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양적인 성장을 뛰어넘어 질 높은 성장을 해야 한다. 질 높은 성장이란 함께 더불어 같이 가는 성장”이라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같이 어우러지는 사회가 되도록 경기도청과 도 공공기관이 장애인을 조금이라도 더 고용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장애 학생이 겪었던 취업 현장에서의 어려움을 전달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김규남 학생은 “장애인 인턴십이나 채용이 부족한 것도 사실이지만 그걸 찾는 과정도 힘들다”며 “일반 채용과 장애인 채용 공고를 따로 분류하면 보기가 좀 더 편하고 정보 습득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김 지사는 “장애인들을 위한 별도의 취업 정보 메뉴를 따로 만드는 것은 정말 좋은 아이디어다. 바로 시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커뮤니티 플랫폼이나 공공기관 인턴도 바로 관련 부서에서 검토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이날 만남으로 김 지사는 2년 전 학생과 한 약속을 지켰다. 지난 2023년 9월 김 지사는 ‘장애인 기회소득 및 누림통장 사업’ 참가자들과 광교호수공원을 걷던 중 강남대 신선아 학생이 취업동아리를 소개하자 “한번 찾아가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한편, 도는 장애인에게 자산 형성과 신체 활동 기회를 돕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지난 2022년부터 실시한 ‘장애인 누림통장’사업은 중증 장애 청년을 대상으로 24개월간 매달 10만 원 범위에서 저축 액수만큼 도와 시군이 추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는 지난해 12월까지 총 6,422명을 지원했다.
‘장애인 기회소득’은 도내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 1만 명을 대상으로 더 많은 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스마트워치를 활용해 가치 활동을 인증하고, 전용 앱을 통해 사회참여 활동사진을 게시하면 월 10만 원을 지급한다. 지난 2023년 시행 후 지난해까지 약 1만6천여 명의 장애인에게 기회소득을 지급했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