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산불 주불 213시간만에 진화
경북 산불 실화 50대 불구속 입건
‘공무원 희생’ 창녕군 중처법 조사
정부, 10조 규모 ‘필수 추경’ 공식화

역대급 피해를 남긴 영남지역 산불의 주불이 가까스로 진화됐다. 경남·경북을 통틀어 사망자만 30명에 이른다. 피해 면적은 4만8천238㏊로, 서울 여의도(290㏊)의 166배에 달한다.
30일 산림당국에 따르면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최초 발화한 산불은 213시간 만인 이날 오후 1시 주불이 진화됐다. 주불 진화가 완료되며, 산불 관리는 지방자치단체 중심 잔불 진화 체계로 변경됐다. 무려 열흘간 하동, 진주, 지리산국립공원까지 번지며 축구장 2천602개에 달하는 1천858㏊에 피해를 줬다. 사망 4명, 중상 5명, 경상 5명 등 14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같은 시기 울산 울주에서도 산불이 발생해 2명이 다쳤다.
경남 산불과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던 경북 산불은 피해가 더 컸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화한 산불은 1주일 만인 지난 28일 주불이 진화됐지만 주말새 안동, 의성 등 일부 지역에서 재발화해 소방당국이 헬기 등을 투입해 진화했다. 경북 산불은 의성은 물론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에 막대한 피해를 줬다. 사망 26명, 중상 4명, 경상 29명 등 사상자만 59명이 발생했다. 피해 면적은 의성이 1만2천821㏊로 가장 넓다. 안동 9천896㏊, 청송 9천320㏊, 영덕 8천50㏊, 영양 5천70㏊ 순이다.
이런 가운데 경찰은 실화로 인해 경북 산불을 낸 A(56)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A씨는 지난 22일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한 야산에서 조부모 묘소를 정리하던 중 불이 나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혐의를 부인하고 있지만, A씨 가족은 기초 사실 조사를 받으며 “(봉분에 있는) 나무를 꺾다가 안 돼서 라이터로 태우려고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경남 산불 진화 과정에서 민간인인 창녕군 산불진화대원과 군청 공무원이 숨진 점과 관련해,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하기로 했다. 창녕군은 현장 투입 당시 숨진 대원 등에 장비를 제대로 지급했다고 밝혔지만, 숨진 대원 등이 기본 장비조차 갖추지 못한 채 현장에 투입됐다는 주장이 반복적으로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한편 정부는 산불 피해 복구 등을 위한 추가경정예산 추진을 30일 공식화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긴급 현안 관련 경제관계장관 간담회’에서 “신속하게 집행가능한 사업만을 포함한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추진코자 한다”며 “산불로 4만8천㏊에 이르는 산림 피해와 75명의 사상자 등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 지역민들의 조속한 일상 복귀를 위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과 지원이 긴요하다”고 밝혔다. → 관련기사 4면
/강기정·김태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