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규준 정치부 기자
한규준 정치부 기자

경기도 민생현안이 공전하고 있다. 경기도 집행부와 경기도의회 간 갈등이 봉합될 기미가 안 보이기 때문이다. 도와 도의회의 구호뿐인 민생과 협치에 도민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지난 2월 도의회 제382회 임시회서 여·야·정은 모두 ‘민생’을 강조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도의 선제적인 추경으로 중앙정부의 재정 정책을 견인하겠다”며 추경을 천명했다.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은 도와 도의회가 참여하는 비상경제대책위원회 설치와 추경을 제안했다. 김정호 국민의힘 대표의원 역시 민생위원회를 구성해 여·야·정이 머리를 맞대자는 의견을 냈다.

도민들은 민생 위기 극복을 위해 모처럼 여·야·정이 ‘협치’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으나, 기대는 산산조각 났다. 지난달 임시회 본회의에서 도가 제안한 안건 11개가 처리되지 않았다. 도의회가 여·야·정 협의체 구성 등을 통한 협치 활성화를 주장했지만, 도의 소통 의지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안건 중에는 도의 핵심 현안인 K컬처밸리·지분적립형 주택 사업 등 동의안, 서울시와 인천시의 현안이기도 한 지하철 요금 조정에 대한 의견청취안 등이 포함됐다. 민생을 위해 협치하겠다는 도와 도의회가 갈등만 드러내며 긴급한 현안이 미뤄진 것이다.

추경도 의문부호가 붙는다. 국민의힘은 김 지사의 ‘불통 도정’을 지적하며 추경 논의를 일축했고, 민주당은 도의 적극적인 움직임을 강조하며 관망하고 있다. 도는 공문으로 여야정 협치위원회를 제안하는 등 조기 추경 의지가 있는지 묻고 싶을 정도의 태도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과에 따라 4월 임시회가 열리지 않는다는 말들이 흘러나온다. 민생을 외친 이들이 도민을 뒤로한 채 중앙정치에 몰두할 수 있단 신호다. 민생 위기에 놓인 도민을 두고 어딜 가겠다는 것인가. ‘민생·협치’는 말로만 되지 않는다. 대면해 현안을 논의하고 처리해야 한다. 4월 임시회는 예정대로 열려야 한다. 도민들이 추경과 민생 현안 통과 여부를 지켜보고 있다.

/한규준 정치부 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