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평택항서 ‘경기도 비상경제회의’ 개최
현대車 등 자동차 관련 기업 관계자 참석
“정부, 경제전권대사 임명해야” 재차 요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수입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시점을 사흘 앞두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되는 도내 자동차 중소기업에 특별경영자금 500억원 지원을 약속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전부터 대응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지적해 온 김 지사는 정부의 미온적인 대응에 비판을 가하며 경제전권대사 임명 등 정부 차원의 대응을 재차 요구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31일 오후 평택항 동부두에서 경기도 비상경제회의 전 인사말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은 4월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액은 2조 원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며 “하지만 정부는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허송세월을 보냈다. 이는 정부의 심각한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이어 “지금 관세 타이머를 멈추지 않는다면 앞으로 대한민국 경제에 씻을 수 없는 실수를 저지른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경제전권대사를 임명하고 관세 문제를 비롯한 대외 경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자”고 말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 차원의 대응에도 적극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도는 지난 10일 대미 통상 환경 조사단을 조지아주에 파견했다. 조지아주는 150여 개 국내 기업들이 진출해 있는 북미 자동차 산업의 거점”이라며 “6월에는 도내 자동차 부품 기업들을 현지에 파견하고 맞춤형 컨설팅 등을 통해 수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우리 부품 업체를 비롯한 중소·중견기업에 500억 원 규모의 긴급 특별 경영 자금을 지원하겠다”며 “장기적으로 일자리 감소나 지역 경제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해서 면밀하게 대책을 수립해 나가겠다. 트럼프 스톰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도는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후 김 지사는 자리를 옮겨 자동차 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경기도 비상경제회의를 이어갔다. 이날 회의에는 현대 자동차, HL클레무브㈜, HL만도㈜, 한국후꼬꾸㈜, ㈜예일하이테크 등 자동차 관련 기업 관계자들과 자동차 산업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3일부터 미국에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오는 2일에는 전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을 예고하면서 도내 자동차 업계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