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시공사가 주도하는 검단의료복합시설용지 매각 성사 여부에 지역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검단신도시 전경. /경인일보DB
인천도시공사가 주도하는 검단의료복합시설용지 매각 성사 여부에 지역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검단신도시 전경. /경인일보DB

인천도시공사(iH)가 검단신도시 의료복합시설용지를 분할매각하자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땅을 쪼개면 상급종합병원급 대형 종합병원 유치가 무산될 수 있다는 이유다. 지역 정치권도 목소리를 높였다. 시의회 임시회에서는 특혜 의혹 등을 제기하며 유정복 시장에게 원점 재추진을 촉구했다.

검단신도시 의료복합시설용지 사업은 서구 불로동 597의12 일대 4만7천328㎡에 대형 종합병원과 교육연구시설, 근린생활시설 등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됐다. iH는 지난 2022년부터 2년5개월 동안 종합의료시설 유치를 위해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사업 추진 전략을 마련하는 용역을 진행했다. 당초 중형 종합병원 부지로 계획된 땅에 대형 종합병원을 유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고 분할 매각이라는 정책 판단을 내린 것이다.

문제는 iH가 지난 1월 해당 용지를 북측과 남측으로 나눠 분할 매각하는 공고를 내면서 불거졌다. 주민들이 반발하자 iH는 공고를 철회했다가, 한 달여 만인 2월 17일 다시 매각 공고를 냈다. 입찰 1순위와 2순위를 대상으로 토지 전체 매각을 시도하되, 1·2순위 매각이 실패할 경우 3순위 사업자에게 북쪽 필지(1만6천528㎡)를 매각 한다는 조건이었다. 1·2순위가 유찰됐고, 3순위 응찰자 3명 중 1명이 낙찰자로 낙점됐다. 대형 종합병원 유치를 희망했던 주민들의 입장에서는 실망감이 클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의정 갈등 사태로 상급종합병원의 필수의료 제공보다는 치료·교육·연구 기능이 강조되는 추세 속에서, 유치에 걸림돌이 되는 조건들을 거론하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전체 면적이 작은 것이 가장 큰 한계라 한다. 상급종합병원 유치를 희망하는 송도와 청라의 경우 종합병원 부지면적만 8만~9만㎡인데 검단은 전체 면적이 4만7천328㎡에 불과하다. 그만큼 수익용지 확보 여력이 적다는 얘기다.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병상 공급 제한지역’에 포함된 것도 큰 장애물이다.

주민의 염원과 사업의 현실 사이에서 불거진 갈등이다. iH는 낙찰자 선정 과정에서 세간에 불거진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법률 검토를 받았고 ‘위법 사항 없음’으로 결론을 내렸다. iH는 일단 당첨자와의 실제 계약을 미뤘고, 금주 중 당첨자와 현 상황에 대한 상호 입장을 공유할 예정이다. 사업의 현실을 반영하되 주민이 납득할 해법을 찾기 위한 소통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