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이 지속되면서 서민들의 삶이 더욱 팍팍해 지고 있다. 치솟는 물가는 좀처럼 잡히지 않고, 일자리 찾기가 어려워진 것은 청년이나 중년이나 마찬가지다. 대내외적인 악재도 잇따르고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가 눈앞에 있고, 어려운 나라 살림 속에 산불 피해 규모는 역대급이다. 자동차·반도체 등 주력산업의 부진은 경기도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어려운 경제는 소비심리도 위축시켰다. 자영업은 고사직전인데, 이에 대한 구제책은 보이지 않는다.

계엄에 이은 탄핵정국에 서로를 적(敵)보다 못한 사이로 치부해 버린 중앙 정치에는 이미 경제 문제를 해결할 희망이 없다. 지방분권·지방자치시대에 지역이라도 잘해야 하지만, 중앙정치 흉내 내기에 바쁠 뿐이다. 조기 대선 가능성에 대권행보를 하고 있는 경기도지사와 협치 실패에 남 탓만 하는 경기도의회의 갈등은 경기도 민생경제 살리기에 독(毒)이 되고 있다. 도의 핵심 현안인 K컬처밸리·지분적립형 주택 사업 등도 줄줄이 지연 중이다.

상황이 위중한데 4월 도의회 임시회 무산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면서,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조기 추경 역시 미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경기도가 손을 내밀어 여야정협치위원회 개최를 요청했지만, 도의회의 반응은 냉담하다. 모양새는 경기도의 구애를 도의회가 거절한 것처럼 보이지만, 배경에는 김 지사의 ‘불통 도정’에 대한 도의회의 불신이 깔려 있다. 의회가 불신한 인사들의 기관장 임명을 강행하고, 도의회의 추경 제안에는 냉랭하다가 뜬금없이 협치위를 제안한 것 자체가 의회 경시라는 것이다. 내심 김 지사가 직접 손을 내미는 제스처를 바라는 분위기도 있다.

김 지사는 연일 ‘1인 시위’에 나서고 있고, 주된 메시지는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다. 탄핵 정국 전 윤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가장 큰 비난은 야당과의 소통 및 협치 부재였다. 묘하게도 김 지사에 대한 도의회의 주된 비판도 ‘불통’이다. 조기 대선이 실현되면 모든 현안은 블랙홀처럼 대선 정국에 빠진다. 특히나 김 지사는 유력 대권 주자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이 나오기 전, 경기도 현안에 대한 매조지가 필요하다. 4월 임시회가 열려야 김동연의 경제 능력을 보여줄 ‘김동연표 조기 추경’은 물론, 산적한 민생 현안도 처리할 수 있다. 거리로 나서기 전, 김 지사가 직접 나서 도의회를 만나 꼬인 매듭을 풀어야 할 때다.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