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2025년 대책 세부계획 발표
中企·첨단산업 등 지원 기조 탈피
‘취업난 심화’ 경기 침체 대응 집중
인천시가 올해 16만3천개의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민선 8기 출범 이후 중소기업 지원과 첨단산업 육성에 집중했던 기조에서 벗어나 청년 취·창업 지원과 노인 일자리 확충에 집중해 경기 침체에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인천시는 31일 ‘2025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을 통해 지역 일자리 정책 방안을 발표했다. 올해 청년 취업·창업 분야 일자리 목표를 전년(1만1천390개) 대비 1만개 이상 늘리는 등 청년 지원에 주력한다. 또 노인·중장년 등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생애 주기별 일자리도 지난해(8만8천426개)보다 2천674개 늘린 9만1천100개로 목표를 잡았다.
이 같은 정책 방향은 지난 2년간 인천시가 추진했던 일자리 정책과 다소 차이가 있다. 민선 8기 일자리정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23년에는 코로나19 이후 금리 인상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고용 지원과 육성에 무게가 실렸고, 지난해에는 바이오·인공지능(AI)·개인용비행체(PAV) 등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을 지원해 일자리의 질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했다.
올해는 경기 침체에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등 여러 변수로 기업이 신규 투자와 채용을 줄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인천의 청년실업률은 지난해 기준 6.4%로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8.5%) 이후 가장 높았는데, 기업들이 채용마저 줄일 경우 취업난 심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청년 자격증 응시료 지원 인원을 4천700명(2024년)에서 5천명(2025년)으로 늘린다. 면접 컨설팅 지원 인원도 지난해보다 200명 증가한 4천900명으로 확대한다. 또 창업 청년을 지원하는 ‘글로벌 스케일업 캠퍼스’ ‘청년 해외진출’ 사업 역시 지난해보다 사업비를 인상했다.
노인 일자리 규모도 늘린다. 인천시는 올해 노인 일자리 규모를 전년 대비 1천800개 늘린 5만5천396개를 공급할 계획이다. 또 신중년(50~64세)을 대상으로 일자리 컨설팅 사업과 정년 연장시 고용지원금을 지급하는 사업도 지속한다.
인천시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제조업과 건설 분야를 비롯한 지역 기업의 고용 규모가 줄어드는 상황”이라며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인천시는 올해 ▲고부가가치(1만6천987개) ▲인천형 특화(2만390개) ▲청년의 꿈(2만2천597개) ▲맞춤형 균형(9만1천100개) ▲함께하는 소통(1만2천154개) 등 5개 분야에서 총 16만3천228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1조3천194억원을 투입한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