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실사 등 거쳐 5월 입지 결정
예산 897억… 지역경제 활력 기대
행정절차 순탄 전제 2027년 착공
경기도의회가 전국 지방의회 중 처음으로 추진하는 의정연수원(2024년 9월 27일자 3면 보도)에 6개 시·군이 유치를 희망하고 나섰다.
도의회가 31일까지 의정연수원 설립 부지 신청을 각 시·군으로부터 접수받은 결과, 이날 오후 6시 현재까지 가평, 남양주, 동두천, 안성, 연천, 구리에서 유치를 신청했다.
도의회는 4~5월 부지선정위원회를 통해 현장 실사 등을 거쳐 오는 5월 말께 입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도의회 의정연수원은 지방의회에선 전국 최초로 추진되는 것이다.
지난해 경기연구원이 실시한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설립 규모는 부지 면적은 최소 3만6천145㎡, 건축 연면적은 2만265㎡다.
약 897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다만 입지에 따라 사업비가 변동할 가능성은 매우 큰 상태다.
연수원 추진을 본격화한 도의회가 부지를 공모하고 나서자, 적지 않은 시·군들이 매우 적극적으로 유치를 희망해 눈길을 끌었다.
가평군의 경우 지난 24일 군의회 임시회에서 ‘경기도의회 의정연수원 가평군 유치 건의문’을 채택했다.
연천군 역시 류호국 부군수를 단장으로 한 TF팀을 꾸리는 한편 군의회가 ‘경기도의회 의정연수원 연천군 유치 촉구 결의안’을 채택해 힘을 실었다.
범군민유치추진위원회도 발족했다. 의정연수원 조성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주민들에 자긍심을 심어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라는 게 각 시·군 설명이다.
입지가 결정되기 전까지 각 지자체의 유치 경쟁이 더욱 불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해당 의정연수원 설립은 300억원 이상이 투입돼야 하는 사업이라, 지방재정법에 따라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관련 법령 및 조례 제·개정 역시 관건이다.
이 같은 행정 절차가 차질없이 이행된다는 전제 하에 오는 2027년 착공이 목표다.
도의회 측은 “도의회 위상과 규모가 커지는 만큼, 별도의 교육·연수시설 수요가 날로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설립을 추진하는 것으로, 2030년께 개원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