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선고 결과에 따라 행보 갈려
당내 경선 참여해도 직 유지할 듯

오는 4일 이뤄지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결과에 따라 김동연(캐리커처) 경기도지사의 대권 행보도 갈린다.
탄핵 인용과 함께 선고 두달 안에 치러질 대선 국면에 들어설 경우, 곧장 대선 출마 선언을 하고 더불어민주당 경선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탄핵이 기각되거나 각하돼 조기 대선이 실현되지 않으면, 당분간 도정에 전념하며 추이를 살피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기 대선이 열려 당내 경선에 참여하더라도, 도지사직은 유지하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는 1일 헌재의 탄핵선고일 지정 소식이 발표된 후 자신의 SNS를 통해 “헌재가 내란수괴에 대한 역사적인 심판을 예고했다”며 “국민은 ‘윤석열을 파면한다’ 여덟 글자를 기다린다”고 탄핵 인용을 촉구했다.
야권의 ‘플랜B’로 꼽히는 김 지사는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부터 대권행보 페달을 밟아왔다. 지난 2월 광주·대구·대전 등을 방문하며 전국 단위로의 지지세 결집을 시도했다.
탄핵선고 전날인 3일에는 제주도를 찾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탄핵 인용을 촉구하는 ‘1인 시위’로 자신만의 정치적 의사를 표시해 왔는데, 2일에도 동수원사거리 부근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할 예정이다.
특강 정치도 한창이다. 지난달 25일 서울대 초청 강연을 비롯해 이날 열린 한국대학생총학생회 시국포럼 특강, 2일에는 서울대 정치지도자과정 특강 등이 예정돼 있다.
이재명 대표의 무죄 판결 이후 플랜B 실현의 가능성이 줄어들었다는 분석도 나왔지만, 김 지사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대권행보를 이어온 셈이다.
김 지사 측 관계자는 “일부 비명계 중에서 경선 포기를 고민하는 인사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김 지사는 경선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탄핵이 인용된다면, 그 시점부터는 굉장히 바빠질 것”이라며 “출마 선언 장소와 시간도 고심 중”이라고 전했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 서강대학교에서 ‘유쾌한 반란’을 주제로 특강을 열고 본인을 표현하는 키워드를 ‘경제·글로벌·통합’으로 꼽으며 “경제도 그렇고 갈등구조도 한국이 이렇게 가서는 안된다. 그래서 국민통합을 이루고 싶다”며 대권을 향한 의사를 피력했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