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근골격계 예방운동센터.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근골격계 예방운동센터.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임직원들의 근골격계 질환 근절 방안을 도출했다. 개인 맞춤형 깔창 제작, 웨이퍼 이동 무게 감소 등 직원들의 육체적 부담 감소에 중점을 뒀다.

2일 삼성전자는 사내 공지를 통해 ‘반도체 생산현장 근무환경 개선 TF’ 활동 결과를 밝혔다. 노사합의로 지난해 10월부터 TF를 꾸려 임직원 근골격계 근무환경 개선 방안을 찾아왔다.

개선 사항은 ▲8인치 자동화 작업 확대 계획 ▲무게를 감량시킨 웨이퍼 이동 박스(Run Box) 도입 ▲라인 근무자 개인 맞춤형 손가락, 손목 보호대 등 지급 ▲기흥사업장 SR3동 재활의학 전문의 배치 등이다. 삼성전자는 노사공동 TF 활동 종료 전 라인 근무자에게 개인 맞춤형 방진화 깔창을 제작해 지급하는 등 근무환경을 빠르게 개선했다.

웨이퍼 이동 박스 무게도 22% 가량 줄였다. 반도체 수동라인 근무자들이 이동 박스를 옮길 때 느끼는 육체적 피로가 최소화될 것으로 삼성전자는 기대하고 있다.

앞서 TF는 근골격계 유해인자 조사 전문업체인 ‘한국안전보건연구소’와 협력해 이번 활동의 객관성과 전문성을 높였다. 라인 근무환경에서 법적 근골격계 부담작업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현장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매우 우수한 수준이라고 한국안전보건연구소는 평가했다.

노사공동 TF는 “앞으로도 임직원의 건강하고 행복한 회사생활을 위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노사가 함께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윤혜경기자 hyegyu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