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식세포 동결비 등 잇단 지원

아기가 태어난 뒤 지원하는 건 이제 옛말이다.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내 지자체들이 ‘탄생 전 지원’에 발벗고 나섰다. 비용 부담이 컸던 생식세포 시술과 관련해 동결·보존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되면서, 출생률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3일 수원시는 저출생 문제를 극복하고 가임력 보존이 필요한 시민들을 위해 ‘영구적 불임 예상 생식세포 동결보존 지원사업’ 등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의학적 사유로 영구적 불임이 예상되는 경우 생식세포 동결·보존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이번 달 중 시행 예정이다.

아울러 도의 지원을 통한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사업도 시행 중이다. 임신 계획이 있는 여성의 가임력 보존을 위해 난자채취 검사·시술비를 최대 200만원까지 지원한다.

여주시도 ‘가임력 보존 지원 조례안’을 입법 예고한 데 이어 최근 해당 조례가 통과됐다. 해당 조례안은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들의 가임력 보존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여주시민들도 생식세포 동결비 지원 등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안산시도 지원책을 마련했다. ‘영구적 불임 예상 생식세포 동결·보존 지원사업’을 추진해 남성 최대 30만원, 여성 최대 200만원의 냉동비를 지원한다. 또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과 난임 시술비 지원사업도 확대해 생애주기별로 최대 3번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현재 도내 지자체들이 가임력 보존에 나서는 이유는 저출생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다. 생식세포 동결은 임신이 어려운 상황을 대비할 수 있는 주요 방법으로,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 수원시 관계자는 “임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부를 위해 경제적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며 “이번 사업이 저출생 위기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유혜연기자 p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