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유관기관 ‘특성화고 컨소’ 협약

바이오·반도체·물류 등 맞춤 교육

5년간 최대 45억 특별교부금 지원

인천시가 바이오·반도체·물류 등 주요 산업분야 인재 양성에 나선다.

인천시는 3일 인천시교육청과 연수구, 지역 대학, 인천테크노파크(인천TP), 인천벤처기업협회 등 유관기관과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 컨소시엄’ 업무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아로마뱅크(뷰티), 싸토리우스코리아바이오텍(바이오의약), 피엘코스메틱(뷰티), 알버트사이언스(자연과학) 등 지역 기업도 동참한다.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는 지역에 필요한 특수 산업분야, 지역기반 산업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는 학교다. 우수한 기술 인재들이 지역에서 성장하는 선순환 모델을 만들기 위한 취지로 교육부가 지난해 처음 도입했다.

지자체와 교육청·지역 기업·특성화고 등이 협약을 통해 연합체를 구성하면, 특성화고를 졸업한 인재를 지역 기업과 연계해 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실무 중심의 교육을 시행해 학생들이 졸업만 해도 기업과 대학들이 데려갈 수 있도록 인재를 양성하는 시스템이다. 타 시·도 대기업 등으로 인력이 유출되지 않는 역할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인천시는 기대하고 있다.

인천에서는 지난해 인천반도체고(반도체), 정석항공과학고(항공MRO) 등 2개 학교가 협약형 특성화고로 선정됐다. 인천시교육청은 이달 중 인천바이오과학고(바이오), 영종국제물류고(물류) 등 2개 학교에 대한 협약형 특성화고 육성 계획서를 교육부에 제출할 방침이다. 최종 선정 결과는 오는 6월께 발표될 예정이다.

교육부의 협약형 특성화고에 선정되면 5년간 최대 45억원의 특별교부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자율형사립고처럼 교육과정을 편성하거나 운영하는 자율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바이오나 반도체 등 산업 분야 대학원생들은 대부분 연구소나 대기업 중심으로 나가려 한다”며 “특성화고를 통해 현장 투입 인력을 양성하면 학생들과 기업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진주기자 yoopear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