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움 상담·기회 바우처 등 지원

수출기업 ‘피해 방지책 마련’ 부심

자동차社 美 생산기지 진출 도움과

내항화물선 선령제한 허용기한 연장

김 지사, 미시간주 협력요청 서한도

‘트럼프發 관세 리스크’가 본격화 되자, 경기도도 수출 기업 피해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우선 가장 큰 피해가 우려되는 자동차 관련 수출기업을 돕는 전담 TF팀을 가동하고 긴급 특별경영자금 및 ‘수출 기회 바우처’ 등을 지원함은 물론, 수출기업에 지방세 납부기한을 연장해주는 방안 등을 준비 중이다.

경기도는 3일 이러한 내용의 ‘트럼프 관세 대응 위한 경기도 비상경제회의 후속조치’를 발표하고 바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달 31일 수출 중소기업에 특별경영자금 5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 정두석 경제실장 중심. 관세 대응 TF 운영

도는 정두석 경제실장을 팀장으로 국제협력국, 미래성장산업국, 철도항만물류국, 자치행정국 등 5개 실·국으로 ‘경기도 트럼프 관세 대응 TF팀’을 운영키로 했다. 아울러 경기지역FTA통상진흥센터 내에 전용창구를 마련해 어려움을 겪는 수출기업에 상담을 제공한다.

특히 수출기업당 800만원씩 ‘수출 기회 바우처’를 지원해 관세 리스크 대응을 돕는다. 관세 피해기업을 대상으로는 지방세 납부기한 연장, 징수 유예, 세무조사 유예 등의 혜택을 제공할 방침이다.

올해 일몰 예정인 지방세특례제한법상 지식산업센터 및 산업단지 감면은 연장하고, 관세 피해기업에 대해서는 감면율을 최대 75%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정부에 법률 개정을 건의할 계획이다.

■ 수출기업 지원 주력. 댈러스에 GBC 개소

자동차 수출기업의 미국 내 생산기지 진출을 돕기로 했다. 여기에 더해 미국 댈러스에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운영하는 경기비즈니스센터(GBC)를 올해 안에 추가로 열어 이미 운영 중인 뉴욕·LA GBC와 함께 바이어 매칭, 계약 등 수출 지원 컨설팅을 펼칠 예정이다.

제도 개선에도 나서 오는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허용된 ‘내항화물선의 선령제한에 관한 고시’의 허용기한을 연장하도록 한국해운협회에 건의한다. 이는 수출용 자동차 화물을 운송하려는 내항 화물운송사업자가 해양수산부의 허가를 받으면 선령 15년 이상의 선박을 운항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는 것이다.

이와 함께 기업활동 규제를 해소하기 위해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내 자동차 기업의 추가 세액 공제 혜택 배제 등도 개선 요청할 계획이다.

■ 김동연 미시간주에 협력 요청 서한, ‘경제 전권대사’ 재차 주장

김동연 지사는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미시간주 그레첸 휘트머 주지사에게 협력 요청 서한을 보냈다.

미시간주는 제너럴모터스(GM)·포드·스텔란티스 등 미국 주요 완성차 본사가 있는 지역이다.

김 지사는 서한을 통해 “자동차 관세는 경기도뿐 아니라 미시간주 자동차 산업 및 소비자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주지사께서 한국 수출기업들의 어려움에 대해 미시간주 기업들에게 알려주시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경기도는 미시간주의 혁신동맹 파트너로서 미래차 산업 및 첨단기술 분야에서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가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SNS를 통해서도 “하루빨리 여야 합의로 ‘경제 전권대사’를 임명해야 한다”며 “이번 (미국의)조치는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에 따른 것으로 수정의 여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출 충격으로 내수 시장이 더 얼어붙기 전에, 50조 슈퍼 추경으로 경제 침체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영지·한규준·김태강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