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 결과가 발표된 4일 오전 환율이 1천430원대로 떨어지고 주가가 출렁거렸다.
4일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이 선고된 오전 11시 22분 기준 1천436.30원을 기록했다. 이날 환율은 16.5원 하락한 1천450.5원에 시작해 헌법재판소 결정문 낭독을 시작한 오전 11시 이후 장중 1천430.40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전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로 경기침체 우려를 촉발한 데 이어 헌재가 윤 전 대통령의 탄핵안을 인용하면서 환율 하락폭이 확대됐다.
환율은 이후 계속해서 1천430원대를 유지하며 오후 3시 30분 기준 전날 같은 시각 기준가보다 32.9원 내린 1천434.1원을 기록했다.
코스피는 선고 전후로 급변동하다 파면 선고 후 차익실현 매물로 인해 약세로 돌아섰다. 지수는 전장 대비 36.21포인트(1.46%) 내린 2천450.49로 출발한 후 한때 상승 전환했다가 탄핵심판 선고가 시작된 오전 11시에 보합세를 보였다.
이후 헌재가 탄핵소추 사유별 판단을 설명하기 시작하면서 강세로 전환했지만, 오전 11시 22분에 최종적으로 파면이 선고된 직후 약세로 전환했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에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걷혔지만, 미국의 관세 우려로 인해 전장보다 21.28포인트(0.86%) 내린 2천465.42에 장을 마감했다.
경제계는 사회안정과 경제활력 제고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논평을 내고 “엄중한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이제는 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넘어 국정이 조속히 정상화되고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을 위한 노력이 지속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국민 모두 헌재의 결정을 겸허히 수용함으로써 그동안 탄핵정국으로 야기된 극심한 정치·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종식하고 사회 통합과 안정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입장문을 통해 “미국발 글로벌 보호주의 확산과 중국의 국가 주도 대규모 기업 성장 전략으로 한국의 주력산업과 첨단 미래산업이 위협을 받고 있다”며 “이제 정치적 대립과 갈등을 봉합하고 한국경제의 위기 극복과 역동성 회복을 위해 국민 모두의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경제 불확실성 해소와 대외 리스크 관리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달라”고 촉구했다.
안동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탄핵정국의 최대 피해자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라며 “탄핵 정국 때문에 추경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이건 여야 모두 반성해야 할 문제다. 서로 다툼의 여지가 있는 부분은 빼더라도 당장 급한 소상공인 지원부터 추경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한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회의)를 열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조치 및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선고 등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했다.
/구민주기자 ku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