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청년 세대 가족형성 통계

“결혼·출산 더이상 필수 아님 증명”

男 육휴 사용률 17.5%까지 올라

경기도에 거주하는 27~39세(1983년~1995년생, 2022년 기준)의 절반 이상이 미혼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48.1%)보다는 남성(64.5%)의 미혼율이 높았다.

이는 ‘경기도 청년 세대 가족 형성 통계’에 드러난 내용이다. 7일 발표된 이 통계는 도가 통계청 인구 동태 코호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집계한 전국 최초 승인 통계다.

해당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도에 거주하는 1983~1995년생 233만6천여명 중 56.7%가 결혼을 하지 않았다. 30세만 놓고 봤을 때 미혼율은 지난 2015년엔 61.6%였지만 2022년엔 76.1%로 무려 14.5%p가 높아졌다. 이는 해마다 꾸준히 미혼율이 증가한데 따른 것이라는 게 경기도 설명이다.

결혼은 했지만 아이는 낳지 않은 27~39세 여성들은 24.3%였다. 4명 중 1명 꼴인 셈이다. 기혼 여성의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출생 자녀가 없는 비율이 높았다. 다만 만 39세인 기혼 여성 12.2%도 출생 자녀가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도는 이에 대해 “결혼과 출산은 더 이상 일반적인 선택이 아님을 알 수 있다”고 했다.

육아휴직 현황도 통계에 담겼다. 1983~1995년생 부모 중 육아 휴직을 사용한 사람은 22.7%였다. 그러나 여성이 상당 비중을 차지했다. 그나마 2015년엔 전체 육아 휴직 사용자 중 남성은 1.4%에 불과했지만 2022년엔 17.5%까지 올라갔다.

기업 규모나 부문에 따라서도 휴직 사용률에 차이를 보였다. 지난 2015~2022년 기업 규모별 육아휴직 사용률을 살펴보면, 대기업의 경우 여성은 83.5%가 휴직했고 부모가 함께 육아 휴직에 들어갔던 경우도 37.7%였다.

남성이 육아 휴직을 사용한 비율은 11.8%였다. 중소기업은 여성 육아 휴직 비율이 40.2%로 대기업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부모가 함께 쓴 경우는 21.8%, 남성이 휴직을 사용한 경우는 6%로 마찬가지로 대기업의 절반 수준이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