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3대선을 목전에 두고 후보 선출을 서두르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의 풍경이 대조적이다. 민주당은 이재명 전 대표가 10일 출마선언을 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두관·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출마했지만 이 전 대표의 당내 위상과 대중 지지도를 감안하면 경선은 이 전 대표 추인 절차가 될 전망이다. 이 전 대표는 11일 국가 비전 선포식을 시작으로 사실상 대선 캠페인에 돌입한다.
반면에 국민의힘은 당내 중진 및 시도지사들의 릴레이 대선출마 선언과 선언 대기자들로 국민이 이름을 다 외기 힘들 정도다. 하지만 김문수, 홍준표, 오세훈, 한동훈 등 그나마 지명도 있는 출마자들도 각종 여론조사 기관의 본선 가상대결에서 민주당 이 전 대표에게 족탈불급으로 나타났다. 대안으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을 거론하기 시작한 배경이다. 당내 권력질서의 중심인 대통령이 사라지자 무질서와 혼란에 빠진 것이다.
국민의힘의 무기력과 혼란이 한국 정치를 떠받쳐온 보수와 진보의 대칭적 균형의 붕괴로 이어질까 봐 걱정이다. 엄연히 존재하는 보수의 이념과 가치를 지지하는 국민의 정치적 의사가, 이를 대의할 정당의 무기력으로 훼손된다면, 수많은 정치 왜곡과 이로 인한 혼란이 진보 정당을 포함한 한국 정치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빠른 시일 내에 민주당과 대칭적 균형을 복원해 정치의 질서를 회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당과 윤석열 전 대통령을 분리해야 한다. 윤 전 대통령은 위헌 비상계엄으로 헌법재판소에 의해 파면됐다. 헌법 수호는 대통령은 물론 국회를 구성하는 정당의 제1목적이기도 하다. 국민의힘은 헌법수호 의지에 입각해 대통령에게 탈당을 요구하고, 불응하면 제명을 결단해야 한다. 위헌 대통령의 당적을 유지한 채 헌법 기관인 대통령을 뽑는 대선에 후보를 낼 명분을 가질 수 없다.
당 지도부가 이를 선행시키지 않는다면 경선은 위헌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을 둘러싼 저열한 경쟁으로 오염될 것이다. 이미 많은 예비 후보들이 윤 전 대통령과의 면담으로 탄핵반대 세력 흡수 경쟁을 벌이고 있다. 광장과 여론에 노출된 소수의 극성 보수에 혹해 탄핵을 수용한 전체 국민을 무시하는 자멸적 행태다. 보수의 이념과 가치를 복원해야 이념적 균형을 맞추어 대선 승리를 헤아려볼 여지가 생기고, 패배해도 보수의 대표성을 지킬 수 있다. 경선과 대선 전에 윤 전 대통령의 당적을 정리해야 한다.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