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김두관, ‘오픈 프라이머리’ 주장
어대명 구도 비판… ‘경선 불참’도 시사
李 캠프, “당이 결정, 특별한 의견 없다”

비명계(비이재명계) 민주당 대통령선거 예비후보들이 14일 당내 경선룰(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을 두고 “이재명 전 대표에게만 유리한 일방적인 규칙”이라며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이들은 경선룰이 이대로 확정될 경우 ‘경선 불참’ 가능성까지 시사하면서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 구도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12일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에서 이 같은 안을 의결, 이날 오후까지 중앙위원회 온라인 투표를 진행해 규칙을 확정할 예정이다.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두관 전 의원 등 비명계 예비후보들은 당원과 일반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과 국민선거인단 모집 방식의 ‘국민경선’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해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현 경선룰인 국민참여경선은 이재명 예비후보의 지지층이 대다수인 당원들의 입김이 큰 만큼, 이 예비후보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규칙이라는 이유에서다.
김 지사는 “이재명 후보도 지난번 경선에서 이 룰(국민경선)로 당선이 됐다. 국민들이 축제로 참여하면서 이와 같은 룰을 만든 것이 오랜 민주당의 원칙과 전통인데 지금 그 원칙과 전통이 파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지사는 “역선택 방지를 위해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택했다지만, 이는 룰을 바꾸기 위한 핑계에 불과하다”며 “12·3 계엄, 탱크를 막은 건 국민, 또 시민의식이다. 우리 국민의식을 믿고, 많은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게 더 큰 선거를 거둘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김두관 전 의원은 이날 예정된 일정을 전면 취소하는 등 경선 참여 여부를 숙고하고 있다.
김 전 의원 측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민주당 경선룰은 기울어진 운동장이다. 경선 거부와 참여를 놓고 내부 논의를 이어가는 중”이라며 “하지만 이것이 대선 불출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와 관련 이 예비후보 캠프 관계자는 “경선 룰은 당에서 결정한 사안으로 (이 예비후보는) 한 멤버로서 따라가는 것”이라며 “특별한 의견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은기자 z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