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여의도 캠프 사무실서 입장발표
“당원 결정인 만큼 무겁게 받아들여”
국민참여경선 절차문제·특정인 유리 등 지적
비명계 단일화엔 “논의 없지만 힘 모아야”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경선룰을 권리당원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의 ‘국민참여경선’으로 최종 확정한 데 대해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이 무너진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도 당원이 결정한 경선룰에 따르겠단 의사를 밝혔다.
김 지사는 14일 오후 4시 서울 여의도 대산빌딩에 마련한 캠프 사무실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들께 실망을 드렸다는 점이 더 뼈 아프다”며 “그럼에도 당원이 결정한 만큼 무겁게 받아들인다. 오늘 이후로 가슴에 묻겠다”고 말했다.
이어 “밭을 탓하지 않는 농부의 심정으로 경선에 임하겠다. 유불리에 연연하지 않고 당당하게 가겠다”며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비전과 정책으로 경쟁하겠다. 치열하게 경쟁하고 통 크게 단합하는 경선이 되도록 솔선수범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민주당은 이날 오후 전 당원 투표와 중앙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방식의 대선 경선 규칙을 최종 확정했다.
민주당은 지난 대선 경선에서 국민여론조사 100%로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국민경선 방식을 택해왔지만, 이번 경선에서는 ‘역선택 우려’와 ‘당원주권주의’ 등을 이유로 당원투표의 비중을 늘렸다.
이에 김 지사를 포함한 비명계 주자들은 “민주당의 원칙과 전통을 파괴하는 것”이라며 반발해 왔다. 당원의 비중이 확대될 경우 이재명 전 대표에게 유리하단 평가가 나오기 때문이다.
이날 김 지사는 민주당이 경선룰 변경의 이유로 주장한 ‘역선택 우려’와 ‘당원주권주의’에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며 반박했다. 그는 “역선택 문제는 계엄과 내란 종식에 앞장섰던 국민 수준과 바람을 무시하는 일”이라며 “오랫동안 민주당의 전통은 당직은 당원에게, 선출직은 국민에게 맡기는 것이 원칙이었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국민 경선제의 취지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두가지 논리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선룰이 변경되는 과정에서 후보자들의 의견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며 ‘절차상의 문제’도 제기했다. 그는 “그동안에 있어왔던 대리인 간 사전 협의가 없었다”며 “경선룰 자체를 완전히 바꾸는 결정을 하는 데 있어서 협의가 없었다는 점은 중대한 절차의 흠결이라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어떤 의도에서 이렇게 변경했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지금 경선룰에 인해 특정인의 유불리가 갈린다고 하는 점은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며 이 전 대표를 겨냥한 발언도 이어갔다.
이날 김두관 전 의원이 민주당 경선룰에 반발하며 경선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데 대해서는 “상당히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김 전 의원과 어제 저녁에 통화했다. 김 전 의원이 고심하고 있는 것에 대해 말씀해 주셨고 저는 안타깝게 생각하면서도 끝까지 제대로 된 민주당과 새로운 대한민국 건설을 위해 함께 힘을 모으자고 전했다”고 말했다.
다만, 김 전 의원과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등 비명계 주자들과의 단일화에 대해선 “실질적으로 이번 경선에서 단일화 내지 힘을 합쳐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정도까지 얘기는 하지 않았다”며 “다만 그동안 신뢰 관계를 봐서 당당하게 정면 돌파하는 행보에 뜻을 같이해주시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한다”고 말을 아꼈다.
/김태강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