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의강간죄 개정, 디지털안전위원회 설치 등 공약
정치권 “감세 정책 포함 여성 정책에 소극적인 모습” 비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더불어민주당을 포함한 정치권을 향해 “민주당의 원래 가치인 공정과 평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여성 문제에 전향적이어야 한다”며 “표를 의식한다면 비겁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 지사는 21일 국회의원회관 제 1소회의실에서 열린 ‘모두의 성평등, 다시 만난 세계’ 여성 간담회가 끝난 뒤 ‘백팩 메고 TMI’(도어스테핑)을 통해 “젠더 이슈를 일부 정치인들이 갈라치기에 활용하는 것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며 “대선 후보로서 비동의강간죄 개정 등을 공약에 포함시켰고, 대통령으로 당선된다면 강력하게 추진 할 것이다. 실제 강간사건의 62.5%가 폭력이나 협박 없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피해자 위주로 봐야 이러한 범죄 해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주당 다른 경선 후보들이 여성 정책에 소극적인 것에 대해서는 “특별히 코멘트할 것이 없다”면서도 “최근 민주당의 감세 정책 등은 선거를 의식해 당이 추구하는 가치와 다른 것을 주장하는 포퓰리즘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대선 후보라면 증세까지도 주장할 수 있는 솔직함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의 여성 정책 공약에는 비동의강간죄 개정, 디지털안전위원회 설치, 성평등 임금공시제 법제화 및 성별임금격차해소법 제정 등이 담겼다.
이러한 공약에 대한 소통 자리로 마련된 이날 간담회에는 김은주 한국여성정치연구소장, 김 지사 캠프에 참여하고 있는 정춘숙 전 의원을 비롯해 디지털 폭력 근절단체 ‘리셋’ 활동가, 취업 준비 중인 여성, 이주여성 등이 참석해 의견을 냈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패널로 참석한 여성 분들이 (신상이 노출될까) 모두 마스크나 모자를 쓰고 나온 모습이 안타깝다. 기성세대로서 떳떳하게 이런 이야기 할 수 있는 사회를 못만들어 죄송하다”며 “단기적인 효율이 아닌 장기적인 효율로 여성에 대한 사회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믿는다. 여성가족부 역할 강화, 정부부처 한 곳에서 풀 수 없는 (얽혀 있는 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안전위원회 설치 등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경제부총리를 거쳐 경기도지사를 하면서 경기도내 31개 시군의 성평등 추진 체계를 강화하도록 했고, 청소년 생리대 지원사업도 하고 있다”며 “(여성 정책은) 선거를 위한 공약이 아니라 오랫동안 생각해왔던 소신이자 약속”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지사는 이날 도어스테핑에서 호남지역 경선을 앞두고 지역공약을 발표하기도 했다.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5·18광주민중항쟁’으로 민주화 운동 명칭 변경, 호남권 광역 교통망 확충, 공공의료 인프라 확립, 2036년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영지기자 bbangz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