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경기지역본부가 23일 경기도청 앞에서 대통령 선거 공약화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연다.
특히 보건의료노조의 대선 공약화 요구 사항 중애는 의사인력 확충을 통한 공공·지역·필수 의료 마련도 포함돼 1년여째 계속되는 ‘의정갈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보건의료노조 경기지역본부는 23일 도청 앞에서 진행하는 기자회견에서 보건의료노조 대선 공약화 요구와 과제 및 이후 계획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보건의료노조는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치료사 등 의료 인력으로 구성됐다.
보건의료노조는 정부가 최근 2026학년도 의과대학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천58명으로 결정한 것을 비판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지난 17일 발표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성명서에서 “이번 동결 발표는 보건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법 통과와 사회적 논의 출발을 위한 노동조합, 시민사회, 환자단체, 국회 등 모든 사회 구성원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것은 물론, 고통과 희생을 감내해 온 환자와 국민에 대한 기만”이라고 밝혔다.
대한의사협회를 포함한 의사 단체가 의대 증원 정책을 비판했던 것과 정반대의 입장인 셈인데 이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인 의정갈등 해결의 셈법이 더욱 복잡해졌다.
지난해 2월 정부의 의대 정원 2천명 증원 정책에 대해 의료계는 극렬한 반발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20일 대한의사협회 주최로 열린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에서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장은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며 “소위 의료개혁 정책을 전면 재논의해야 한다. 의료를 파괴한 정권은 결자해지의 책임을 다하라”고 말하며 강경한 반응을 보였다.
보건의료노조 경기지역본부 관계자는 “국민 동의 없이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인 3천58명으로 정한 것) 이렇게 퇴행한 것에 대해 동의할 수 없다”며 “(정부가) 의사 집단에 무릎 꿇는 행위를 한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한편 보건의료노조는 의사인력 확충을 포함해 전국 70개 중진료권마다 공공병원 확보 및 강화, 공익 참여형 의료법인 제도화 등을 대선 주요 공약으로 요구할 예정이다.
/김형욱기자 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