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무근”이랬다 조사 후 말바꿔

두차례 머리 들이박는 등 자해행동

예방 실패… 목격자 트라우마 남겨

관리 체계 허술·안일한 대응 지적

“부대 지휘부에 보고 없었다” 해명

평택 해군2함대사령부 정문. /연합뉴스
평택 해군2함대사령부 정문. /연합뉴스

평택 해군 부대 내 생활관에서 한 병사가 다른 부대원들을 흉기로 위협하는 사건이 발생해 파문이 커지는 가운데, 가해 병사가 이전에도 생활관에서 자해 소동을 벌이는 등 위험 징후를 보였다는 사실을 군 당국이 뒤늦게 파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0일 발생한 A상병의 ‘흉기 난동 사건’ 이후 취재가 시작되자 해군은 자해 등 유사 소동 의혹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밝혔으나, 뒤늦은 자체 조사를 통해 입장을 뒤집은 것이다. 군 당국의 허술한 병사 관리 체계와 안일한 대응이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평택 해군부대 흉기난동 병사, 몇 차례 ‘유사 소동’ 주장 나와

평택 해군부대 흉기난동 병사, 몇 차례 ‘유사 소동’ 주장 나와

다고 한다. 다행히 A상병의 난동은 몇몇 대원들이 말리면서 일단락됐다. 그러나 제보자 B씨 등에 따르면, 난데없는 사건 발생에 동료 병사들은 다치거나 극심한 불안감에 뜬눈으로 밤을 지새운 것으로 전해졌다. B씨는 “해당 생활관은 임시 파견 형태로 병사
https://www.kyeongin.com/article/1737152

24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군 당국은 A상병이 생활관 가구에 머리를 들이박는 등 자해 행동을 벌였다는 진술을 지난 22일 오후 복수의 생활관 부대원들로부터 확보했다. 동료 대원들은 A상병이 생활관에서 청소 관련 일 등을 하다 갑자기 화를 내며 이 같은 행동을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A상병의 자해 소동은 지난 20일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 이전이었으며, 최소 두 차례 그런 소동이 있었던 것으로 군은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부대 지휘부가 이러한 위험 징후를 인지하지 못해 분리 등 사전 예방 조치는 이뤄지지 않았고, A상병이 다른 병사들을 향해 흉기를 꺼내든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 당시 생활관에서 상황을 목격한 대원 중 일부는 여전히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

이와 관련, 해군 관계자는 “사건 이후 목격 부대원들의 진술 조사 과정에서 A상병의 소동을 처음 확인했고, 해당 내용을 알았다면 조치를 했을 것인데 이전까지 관련 사실이 부대 지휘부 등으로 보고된 건 없었다”면서도 “A상병이 ‘배려 병사’로 지정돼 있어 보다 면밀한 관찰 등의 관리를 해왔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피해 병사들에 대한 심리 치료와 함께 향후 부대 관리에 신경을 더 기울일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사건 재발 방지 차원에서 철저한 진상 규명과 군 전반의 부대원 관리체계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홍승민 변호사(군법무관 출신)는 “군에서는 간부들이 수시로 병사들과 면담을 진행하게 돼 있는데 이 과정 속에서 밝혀내야 하는 부분들을 파악하지 못했다면 그 자체로도 문제 소지가 있다”며 “지휘계통에 따른 보고체계가 부대에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관리에 소홀한 책임은 없는지 재발 방지 차원에서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