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특사경 전날 현장 24시간 배치… 경찰·파주 관계자 500명도 현장 지켜
지난 23일 납북자가족모임의 대북전단 살포가 무산된 배경 중 하나엔 경기도의 노력이 있었다. 납북자가족모임은 이날 오전 11시께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에서 ‘납치된 가족 소식 보내기’ 행사를 개최하고 대북전단 살포를 시도했다.
이들은 전날인 22일부터 납북 피해자 6명의 사진과 소식 등이 담긴 비닐다발 10개와 헬륨가스·풍선 등을 준비하고, 대북 풍선 부양이 가능한 풍향일 경우 즉시 부양하겠다고 예고했다.
이에 경기도는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을 전날 현장에 24시간 배치해 돌발 상황에 대비했다. 행사 당일에는 대북전단 살포를 반대하는 집회 참가자들과 물리적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현장에 94명의 도 특사경 소속 수사관을 배치했다.
경찰·파주시 관계자 500여명도 도 특사경과 함께 현장을 지켰다.
이날 현장을 찾은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도 최성룡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를 만나 전단 살포를 자제해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윽고 이날 오후 8시10분께 최 대표가 “살포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히면서 상황은 일단락됐다.
김 부지사는 “경기도는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유관기관과 공조해 대북전단 살포에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해 10월 파주·연천·김포 등 3개 시군을 ‘위험구역’으로 설정하고 대북전단 살포 예상지 현장 순찰과 24시간 비상 대응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김태강·이종태기자 thin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