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61곳 중 남양주는 1곳뿐

“센터 설치로 정책 의지 보여야”

경기도, 포화·관리 부실 등 우려

장애인들의 이동과 사회활동을 돕는 정부사업에 대한 참여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4월 21일자 7면 보도=활동지원 이용 23% 불과… 교통 불편한 교외 더 낮아), 이 같은 사업을 알리고 장애 권익 신장을 위해 활동하는 ‘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의 운영은 지역별로 불균형해 이를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5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내 운영 중인 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이하 자립센터)는 61개소다. 도내 지역에서는 지난 2004년 처음 개소돼 점차 늘었다. 주로 정부·지자체 매칭사업 형태로 운영되는 자립센터는 각 지역에서 정부사업에 대한 정보 제공뿐 아니라, 장애인들의 자립생활 지원·상담가 양성·장애 권익 옹호 활동 등을 한다. 거주시설 장애인들이 시설 밖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고 지원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다만 자립센터의 지역별 쏠림 현상이 커 일부 지역에서는 장애인들의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실제 고양시에 자립센터가 6곳 있는 반면, 평택시와 남양주시는 각각 1곳씩에 불과하다. 고양의 등록장애인 수가 4만2천여명으로 평택(2만6천여명), 남양주(3만3천여명)보다 많은 것을 고려하더라도 지역별 차이가 있다. 경기복지재단도 과거 연구를 통해 장애인 5천~8천명당 센터 1개소 설치·운영이 적절하다고 봤다. 이 기준으로 보면 평택·남양주에 있는 장애인들은 센터 접근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클 수밖에 없다.

경기북부지역의 한 센터 관계자는 “지역에서 자립센터와 비슷한 성격의 복지 시설·기관들이 있긴 하지만 인구가 계속 늘고 있고 센터 고유의 역할이 있기 때문에 추가 설치 목소리가 안팎에서 나오는 게 사실”이라며 “지자체의 장애 정책 의지를 보여줄 수 있는 점에서도 센터 설치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구자들은 지역마다 장애인 지원기관들의 역할을 고루 살펴 복지 사각지대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제언한다. 유정원 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실장은 “자립센터뿐 아니라 거주시설, 복지관 등 장애시설 현황과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센터를 추가 운영할지 판단해야 한다”면서 “운영 중인 센터들의 서비스가 상향 평준화되고 전문성을 갖추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자립센터를 추가로 지정해 운영하는 것에 신중한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지도·점검을 나가보면 운영이 원활하지 않은 곳도 있고, 도 전체로 보면 센터 포화 상태로 보고 있다”며 “센터가 장애인복지시설로 편입되는 내용의 법 개정안이 7월부터 시행되는데 향후 복지부에서 정책 방향을 어떻게 잡을지를 우선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