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국가적 국제행사 준비 앞두고

체계적·중장기적 정책 기반 필요

군사 퍼레이드에 평화 담론 더해

인천시 중구 동인천역 앞에서 해병대 대원들이 제74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 시가행진을 하고 있다. /경인일보DB
인천시 중구 동인천역 앞에서 해병대 대원들이 제74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 시가행진을 하고 있다. /경인일보DB

인천시가 올해 9월, 제75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8개 참전국 국빈과 참전용사를 초청한 국가적 국제행사로 준비 중인 가운데,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전담 기관 설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추진되는 일회성 정책 과제를 넘어, 중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정책 추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시는 오는 9월 15일 기념식을 중심으로, 전날인 14일부터 인천 중구 일원에서 거리축제를 시작으로 다양한 행사를 준비 중이다. 상륙작전 재연행사, 월미공원 내 기념 조형물 제막식, 호국음악제, 시민참여 문화공연, 영화제, 평화캠프, 해군 첩보부대 전사자 추모식 및 월미도 원주민 희생자 위령비 헌화식 등도 추진된다. 특히 9월 15~16일에는 송도컨벤시아에서 ‘2025 국제평화안보포럼 인천’이 열릴 예정이다.

이처럼 대규모 국제 행사를 앞두고 있지만, 실제 행사를 총괄하는 조직은 인천시 총무과 산하 국제평화도시담당팀 단일팀에 불과하다. 행정 인력의 한계로 인해 행사 준비와 운영의 상당 부분은 외부 위탁이나 용역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체 행사 구성을 살펴보면 ‘평화’ 메시지보다는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나 전승기념 행사에 무게가 실려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러한 균형을 보완하고, 평화 담론을 심화할 수 있는 핵심 행사가 바로 ‘국제평화안보포럼’이지만, 이 역시 인천연구원에 위탁된 상태다.

지역 연구기관 관계자들은 이러한 운영 방식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 연구기관 관계자는 “인천의 지정학적 특수성을 고려할 때 장기적 관점에서의 평화·안보 정책이 절실하다”며 “현재처럼 필요할 때마다 위탁하는 방식으로는 정책의 연속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프랑스가 노르망디 국제평화포럼을 개최하며 포럼 전담 부서를 두고 있는 점은 참고할 만하다. 프랑스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이 감행된 6월 6일을 전후해 4주 동안 ‘디데이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축제 분위기를 연출하는 가운데 중요한 학술 행사로 노르망디 국제평화포럼을 진행하는데, 국제사회가 중요하게 다루는 평화 담론이 포럼에서 다뤄진다.

인천시는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 추진에 관한 조례’를 통해 다양한 평화·안보관련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갖추고 있다. 해당 조례에는 교육, 학술, 문화, 체육, 관광사업은 물론, 참전용사 추모, 유적지 발굴 및 보존, 기념시설 설치 등 폭넓은 사업이 명시돼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를 전담해 기획하고 실행할 조직은 부재한 상태다.

이에 따라 시 출연 연구기관 내 ‘평화안보센터’와 같은 전담 기구를 설치해 평화·안보 관련 행사와 정책을 전문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운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또 다른 지역 평화안보 연구자는 “외부 정세나 정부 기조 변화에 따라 흔들리는 방식으로는 접경도시 인천에 걸맞은 평화정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어렵다”며 “전문성과 지속성을 갖춘 전담 조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