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이후 취업을 희망하는 장애인들은 늘고 있는 반면 의무고용을 외면하는 공공기관의홀대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휴·폐업 및 구조조정으로 인해 취업된 장애인들마저 조기에 실직, 또는 이직되는 사례가 많은 등 장애인취업정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1일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인천사무소에 따르면 올들어 신규구직희망자는 지난해 1백49명에서 2백40명으로 늘었으며 경제활동가능사업대상자는 4천3백3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신규취업자의 경우 지난해 61명에서 1백39명으로 늘긴 했지만 아직도 전체 장애인의근로의욕을 뒷받침해주기엔 턱없이 모자라는 실정이다.

특히 일차적으로 모범을 보여야 할 정부공공기관에서조차 장애인의무고용율을 지키지 않고 있다.

지난해 정부부처 및 지자체의 장애인의무고용비율은 1.15%, 정부출연기관은 1.27%, 정부투자기관은 0.7%로 기준인 2%에 크게 미달하고 있다. 인천의 경우 해양경찰청은 전무하고 노동부산하기관인 산업안전공단도 2.01%로 기준을 간신히 넘긴 상태다.

인천사무소는 이와 관련, 지난달 인천지역 관계기관을 일일이 방문해 협조를 요청했으나 『기능직이나 잡역직에 한해 고려해 보겠다』는 답변만 들었다고 밝혔다.

인천·부천지역 일반의무고용사업체 1백25곳도 고용률 1.01%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선 「장애인고용 의무비율 하위 1백대 기업」에 경기·인천지역 10개사업장이 포함, 최고 25억원~1억3천만원까지 부담금을 무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장애인들은 취업을 해도 정리해고 대상이 되거나 적응을 하지 못해 중도에 탈락하고 있는 실정.

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적으로 3천2백65명이 신규취업했지만 이중 32.8%가 이직했으며, 이직자의 47.2%는 1개월도 근무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때문에 인천사무소는 장애인고용업체에 고용환경적응여부, 근로조건문제를 파악해 중도포기를 막는 일에 업무를 집중하고 있다.

인천사무소 관계자는 『12명의 직원이 고용의무사업체를 책임방문해 「1인1사 더 채용하기운동」을 벌여 취업률을 끌어 올리고 있다』며 『그러나 우선적으로 공공기관과 각 업체서 고용의무를 준수하고, 중도포기자가 나오지 않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李旻鍾기자·minj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