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 물가가 줄줄이 오르고 있다. 구조조정이라는 명분 아래 이루어지는 감원의 바람이 올해도 그치지 않을 전망이다.

지난해 삭감된 실질임금이 이전 수준까지 회복될 조짐도 보이지 않는다. 이래저래 서민 가계의 주름살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경기가 저점을 통과했느니, 올해 경제성장률이 4%에 이를 것이라느니, 국제 신용평가회사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투자적격으로 상향조정했느니 하는 소식들이 반가운 희망의 전조일는지는 몰라도 생활 속의 주름살을 하나도 덜어주지 못한다.

 공공요금이 앞장서서 끌어올리고 있는 듯한 물가 상승폭은 겁이 날 정도다.

지난 1일부터 인상된 담뱃값을 선두로 전기 수도 철도 우편 의료보험 국민연금 중고생 수업료 등이 이미 올랐거나 오를 것으로 확정돼 있다.

이에 자극받아 농산물과 제수용품도 최고 40%까지 덩달아 뛸 기세다.

어느 보도에 따르면 월평균 2백만원을 버는 가구가 1년간 추가부담해야 할 공공요금이 연간 66만원이나 된다고 한다.

더욱이 공공요금은 단지 안쓰고 아껴 써서 버텨낼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각 기관마다 피치 못할 인상의 변을 내놓기는 했다.

수도료의 경우 상수원 수질개선을 위한 부담금을 부과해야 하고, 전기료도 대북경수로사업 지원자금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개별 사안으로 떼 놓고 보면 그럴 수밖에 없겠다는 수긍이 가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런 부담을 골고루 떠안아야 하는 서민들의 입장에서 보자면 『해도 너무 한다』는 원망이 앞서지 않을 수 없다.

2백만명에 이른다는 실업자 가족, 다행히 실업은 면했더라도 소득이 3분의 1 이상 줄어든 서민들에게 인상분을 감내하라고 하는 것은 가혹한 처사라는 생각마저 든다.

 현재 진행중인 청문회에서도 드러나듯 방만한 경제운용과 천문학적인 부실대출이 IMF 체제라는 혹독한 시련을 초래했다.

그로 인한 가장 큰 피해자는 서민들이다.

물가당국이 이런 사정을 알고 있다면 지금처럼 물가관리를 해서는 안된다.

이미 인상된 공공요금일지라도 다시한번 검토하고 농산물과 서비스요금이 오르지 않도록 물가의 고삐
를 바짝 죄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