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관리체제이후 농민들 또한 극심한 어려움에서 좀처럼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각종 영농자재는 눈에 띄게 뛰어오른 반면 판로는 좁아져 채산성을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농삿일을 포기하고 도시로 나가기도 힘든 상황이니 이래저래 영농의욕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특히 부농의 꿈을 안고 농사를 천직으로 삼아온 농업인후계자의 경우 이러한 사기저하는 더욱 심하면 심하지 결코 덜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이들의 떨어진 영농의지를 아예 꺾어버리는 일이 최근들어 빈발하고 있다고 한다.

농업인후계자 가운데 상당수가 지원받은 육성자금을 농업경작에 사용하지않고 전업자금으로 편법사용하는 일이 심심치않게 일어나고 있는 모양이다.

심지어 일부는 연리 5.5%,5년거치 10년상환이라는 호조건으로 자금을 지원받아 버젓이 노래방과 술집 등 농촌의 사치성소비를 조장하는 유흥업소를 운영하는 데 유용하고 있다니 그럴만도 하다.

 농업인후계자제도가 시행된 지난 81년이후 도내에서만도 매년 1백여명 꼴로 지금까지 모두 1천8백여명에 달하는 후계자가 자격을 박탈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이중에는 사망,신병이나 타시도전출 같은 불가피한 경우도 없지않다.

그러나 이런 케이스는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다수가 전업,무단이탈 등으로 자격을 잃었다고 하니 국민의 혈세가 엉뚱한 곳에 쓰인 셈이다.

그나마 이런 경우 지원자금의 회수조차 쉽지않다고 하니 성실하게 농촌과 농삿일을 지켜온 대부분의 농업인후계자들로서는 그저 기가 막힐 노릇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가 최근 「사이비 영농후계자」를 색출,회원자격을 박탈키로 하고 대대적인 실태조사에 들어가기로 한 것 은 뒤늦게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군인과 마찬가지로 농업인도 사기가 높아야 농삿일에 한층 정성을 기울이게 되는 법이다.

차제에 정부도 실태조사와 지도강화 못지않게 후계자가 오직 영농에만 연구하고 노력하게끔 일한 만큼 소득이 보장되도록 한번쯤 농업지원정책을 심도있게 재검토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