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인구가 오는 2003년께 1천만명을 넘어서 인구감소 추세를 보이는 서울을 앞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것은 경기도가 양적으로 전국 최대의 광역자치단체가 된다는 의미에 그치지 않고,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비전과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나라전체 인구의 20%를 포용하는 거대지역으로서 도민들의 삶의 질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 하는 과제와 한반도 중심에 위치한 핵심지역으로서 위상과 기능을 새롭게 정비해야 할 필요성이 근본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1천만 시대를 맞는 경기도는 우선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이 시급하다.

그 동안 수도권이라는 지리적 여건에 따라 본의와는 달리 강요당해온 「서울중심성」을 극복하고 독자적 발전모델과 참신한 지역성을 찾아 나서는 노력이 선행되지 않는 한 경기도는 영원한 주변부에 머물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도내에 혼재하고 있는 불균형과 이질성을 극복해야 한다.

서울을 가운데 두고 나뉜 남부와 북부, 최첨단을 달리지만 오염과 혼잡에 시달리는 도시지역과 자연환경은 상대적으로 깨끗하나 낙후성을 호소하는 농촌지역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하는 만만치 않은 과제를 해결할 역량이 필요하다.

 자치정부 경기도에 일반 광역 지자체와는 다른 위상과 권한이 주어져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서울특별시장은 참석하는 국무회의에 경기도지사는 배제되는 상황에서 모든 국가정책의 「서울중심주의」는 극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도가 광역도시계획 입안권조차 갖지 못하는 한 독자적 발전모델이나 균형발전은 실현하기 힘든 공염불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예산의 편성과 배정 역시 최대 자치단체라는 위상에 걸맞게 조정되지 않으면 각종 정책에 힘이 실릴 수 없다.

 경기도도 중앙정부에 바라는 것 못지 않게 스스로 1천만 시대를 대비하는 자세를 가다듬어야 한다.

서해안 시대의 주역, 통일 한국의 중추라는 시대적 사명을 단지 빛바랜 슬로건으로 전락시키지 않으려면 21세기형 행정으로 남들보다 앞서가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