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써 일군 국내 산업연구기반이 속절없이 무너져 내릴 위기에 처했다.

성장의 엔진이라 할 핵심 연구인력들이 대거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기업들이 연구개발 투자를 크게 줄이면서,지난해만 해도 주요 기업들에서 무려 7천명이 넘는 핵심 연구인력이 연구소를 떠났다고 한다.

 특히 이들중 상당수가 대만 등 주요 경쟁국으로 유출된 것으로 알려져 향후 국내기업들의 산업경쟁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게다가 이들의 해외유출은 단순한 연구인력 손실 뿐 아니라 국내 첨단산업 기밀도 함께 새나갈 위험마저 안기고 있어 그 심각성을 한층 더해준다.

 지난해 국내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는 전년에 비해 무려 12.3%나 줄어든 7조7천여억원에 불과했다 한다.

이는 IMF체제 이전인 94~97년중 연평균 15.5%의 증가세를 보인 것과는 너무도 대조적이다.

이러니 기업들의 연구기반이 점차 황폐해짐은 물론,숱한 고급두뇌들이 살곳을 찾아 해외로 빠져나갈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결국 기업은 물론,국가적으로도 당장 고급두뇌의 진공화와 함께 산업경쟁력 상실이라는 막대한 손실로 이어질 게 분명하다.

이미 자동차 조선 등에서 반드시 개발해야할 핵심기술 연구들이 기업의 지원중단 등으로 중도포기가 잇따르고 있다는 것만 보아도 이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어떤 일이 있어도 무너져가는 산업기술연구기반을 되살리지 않으면 안된다.

당장의 어려움만 내세워 이를 소홀히 한다면 마침내는 국부 창출을 위한 국가 과학기술개발 기반마저 붕괴될 우려가 높다.

물론 기업들도 당장은 별 여력이 없겠지만, 여타 부문을 다소 희생해서라도 가능한 한 연구개발 투자를 늘리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정부차원에서도 연구개발분야를 적극 지원하고, 고급두뇌의 유실을 막도록 가능한 모든 방책을 동원할 필요가 있다.

연구인력을 현장에 잡아두기 위해 「전문가 은행」제도를 시행하거나 수조원의 실업대책비 일부를 고급두뇌 활용대책에 쓰는 것 등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