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 곳곳에 얽혀있는 부패의 사슬들이 비로소 하나 둘 끊겨지게 될 모양이다. 어제 김대중대통령은 윤형섭위원장을 비롯한 반부패특별위원회 위원 15명을 위촉했다.

김대통령이 지난번 8·15경축사를 통해 국정개혁의 일환으로 구성하겠다고 밝힌 반부패특위가 드디어 본격 가동되게 된 것이다.

 이 특위는 비록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로 출발하지만, 앞으로 정기국회에서 부패방지기본법이 제정되면 사정정책 등에 대해 심의 권고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갖는 등 막강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검찰에 구성될 반부패특별수사본부(가칭)를 집행기구로 활용, 고위 공직자와 경제사범 등에 대해 강도높은 사정활동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뿐이 아니다. 부패를 근원적으로 치유하기 위한 제도개선 방안과 정책을 대통령에게 제안하는 기능을 갖는가 하면, 특히 민간위원들로 구성된 이 특위는 부패방지를 위한 민간단체들과의 연대 및 교육 홍보를 통한 의식개혁에도 큰 힘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실 우리 사회 곳곳을 부패시키고 있는 각종 비리 실태를 감안하면 이처럼 막강한 권한과 기능을 갖춘 기구의 가동은 오히려 너무 늦은 감이 없지 않다.

그도 그럴 것이 최근 2년간 적발된 공직비리만 해도 자그만치 1백50여건을 헤아릴 정도다. 그토록 사회를 떠들석하게한 청구리스트를 비롯, 신동아리스트, 고관집 절도사건, 옷뇌물 파문, 경기은행 퇴출관련 비리 등은 그나마 일부 지도층 인사들의 크게 드러난 비리일 뿐이다.

오죽하면 전세계적으로 공인된 국제투명성위원회가 지난해 한국의 청렴도지수를 최하위에 가까운 43위로 매겼을까 싶다.

 이런터에 마침내 부패근절을 위한 막강한 기구가 탄생하니 일단 기대를 걸어본다. 그러나 지난날 역대 정권들에서도 보았듯이 아무리 훌륭한 장치를 마련한다 해도 이를 활용하는 이들의 의지가 뒤따르지 않으면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깨끗한 사회를 실현하려는 이들의 올곧은 자세가 어우러질 때 부패청산은 가능하다. 이런 의미에서 정부의 확고하고 지속적인 부패척결 의지 및 각계 각층의 의식개혁을 먼저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