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마침내 미사일 발사 유예를 공식 선언했다. 미국이 대북 경제조치중 일부를 해제한다고 발표한지 10여일만이다.

북한의 이번 조치는 늘 긴장이 조성되던 한반도에 평화를 향한 대장정에 중요한 첫걸음을 디뎠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그동안 「미사일 주권」을 운운하며 강력 반발해왔던 북한의 이같은 선회는 최근 공개된 윌리엄 페리 미 대북정책조정관의 권고를 일단 받아들인것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한·미·일 3국이 공동보조를 취하고 있는 대북 포괄적 구상이 실행단계에 들어서게 됐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유예는 북_미간 관계정상화 협상이 본격적인 단계에 접어들게 됐다는데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와 안정의 최대 위협요인으로 간주되어온 북한의 핵과 미사일 문제가 일단 큰 틀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풀게 된 것이다.

남-북 관계개선에도 긍정적인 신호임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북한 자신을 위해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은 물론이다.

 그동안 북-미 베를린 회담 타결이후 미국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유예를 기정사실화하는 쪽으로 분위기를 몰아간반면 북한은 아무런 공식적 입장을 보이지 않는 바람에 여러가지 우려와 의구심을 낳았던게 사실이다.

베를린 회담 후 발표된 공동성명에서 미사일 발사 유예 합의를 명확히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쨌든 한동안 석연치 않은 태도를 보이던 북한이 결국 미국이 바라던 발사 유예를 천명한 한 것은 한반도와 세계평화를 위해 지극히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유예는 시작에 지나지 않으며 지금부터가 문제다. 발사 유예를 근거로 연구·개발·발사·수출·배치 등 전반적인 문제와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가입등 북한 대량살상무기 동결을 위한 길고도 험난한 협상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만일 협상이 결렬될 경우 모든 문제가 원점으로 돌아갈 우려도 없지않다. 북한이 미사일의 연구·개발과 수출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은 사실이 이런 우려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북한의 미사일발사 유예로 냉전을 유지해 왔던 남북관계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