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 일산 평촌 등 신도시를 중심으로 아파트 전세금이 급격히 오르는데다 물량마져 태부족, 새 학기를 앞두고 이사철이 본격화되는 다음달부터 자칫 심각한 전세대란을 빚을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겨울 비수기에 그것도 실수요 중심의 시장이 형성된 가운데 전세금이 오르면 곧바로 중소형 아파트값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며 당국의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최근 이들 신도시의 전세가격 상황을 보면, 전용면적 25.7평 이하의 국민주택 규모는 한달 전보다 평균 5백만원, 중대형 아파트의 전세금은 1천만~2천만원 정도 올라 있다.

그나마 중소형은 물량이 크게 부족할 뿐 아니라 소유주들이 전세값을 더 올리려고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내놓지 않고 있어 품귀현상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더구나 이에 따라 외곽으로 이사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이 때문에 의정부 김포 남양주 용인수지 수원영통 지역의 전세금도 연쇄적으로 들먹이는 등 자칫 수도권 전체가 몸살을 앓을 판이다.

 이같은 파동은 우선 IMF 관리체제 직후인 98년 초 그 전보다 30%가량 낮은 가격으로 체결한 전세계약 기간이 끝나가고 있는데다 수도권 아파트 재개발에 따른 가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여기에 IMF사태로 많은 주택건설업체들이 도산하거나 공사를 중단함으로써 건설물량마저 크게 줄어들었다.

특히 정부가 IMF 이후 건설경기 부양책 일환으로 소형아파트 의무건축비율을 폐지하자 업체들이 부유층을 겨냥한 대형 호화아파트와 빌라 건축에만 치중, 소형아파트는 거의 짓지 않는 것도 큰 문제다.

 이런 모든 상황으로 미루어 최근의 조짐은 결코 일시적이고 국지적인 현상으로 가볍게 볼 일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정부 당국은 서둘러 근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건설업체들이 부도를 내고 중단한 아파트 공사를 재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소형주택 의무건축비율을 이제라도 부활시키도록 해야할 것이다.

또 근로자와 서민의 주택구입 또는 전세입주 자금을 장기저리자금으로 지원하겠다던 약속이행을 위한 구체적 방안 등도 조속히 마련돼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