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학년도부터 대학 수학능력시험제도의 성적표기방식에 등급제가 도입된다. 수험생들의 성적을 9개 등급으로 나누는 등급제가 새로 도입됨에 따라 수능 성적은 수험생들이 대학을 지원하는 자격시험의 성격이 될 전망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수능 총점과 학생부 성적 등을 일괄적으로 합산하여 합격과 불합격이 갈리던 대학입시제도의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또한 수능 성적 위주로 학생을 선발하던 특차제도도 폐지된다. 이미 서울대가 수시 모집 비율을 전체 모집인원의 80%로 예고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장에게만 한정되던 추천권한도 담임교사나 종교 지도자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또한 대학들이 수시모집 비율을 대폭 늘리는데다 모집단위에 따라 각종 전형자료들을 자격기준 또는 선발 기준으로 마음대로 쓸 수 있어 입시제도가 다양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대학으로서는 수능이 지원자격시험의 성격으로 전환됨에 따라 동점자 처리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할 처지가 되었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수능 총점 등급을 지원자격으로 삼고, 수능 영역별 점수, 학생부 및 면접성적, 특기사항 등을 종합해 합격자를 판정하는 다단계 전형을 도입할 수 밖에 없으리라는 예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수험생의 입장에서도 변화가 불가피하다. 같은 백분위 점수대에 종전 수능보다 훨씬 많은 수험생들이 몰릴 수 밖에 없다.

당연히 수험생들은 진학 희망 대학과 전공을 빨리 정해 이에 맞는 수능 영역을 집중적으로 준비해야만 합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 분야를 훨씬 더 잘해야 한다는 부담과 함께 학생부와 면접 그리고 특기사항 등도 신경을 써야 하는 부담이 생겼다.

 그러나 대학이 수시입학이나 최종판정의 자료가 될 각종 자료들에 대한 신뢰성과 객관성검증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학생부 성적 표기 방식이 절대평가로 바뀜에 따라 성적 부풀리기 현상이 극심한 일선고교의 현실에 비춰보면 이들 자료들을 그대로 합격의 판정자료로 쓸 수 있을까 하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지도력이 대학입학의 자격이 되면서 학생회장을 서로 하기 위해 새로운 치맛바람도 일어나고 있다.

심지어 봉사점수를 받기 위해 몰려드는 학생들을 거절하는 기관이나 단체들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수능등급제도는 성적위주의 입시제도를 개편하고, 학생들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제도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현장의 문제점에 기초한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대학입시의 각종 기준이나 자료들을 객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원칙과 제도적 장치를 시급히 마련해야만 제도 변경으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