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는 서해안 시대라는 대명제와 함께 숱한 국가적 사업들이 진행되어왔었다. 그런데 최근 평택항 건설사업이 장기표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인근 공단에 입주예정인 업체들이 속속 이 곳을 떠나고 있다 한다.

서해안 고속도로의 건설과 평택항 조성 등 황해권에서 벌어지는 많은 국가적 사업들이 속속 발표되면서 2000년대의 중심지가 된다던 기대가 행여 물거품이 되지나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수도권 이전공장을 수용하고 항만이용시설의 극대화, 수도권의 산업인구 및 인구분산과 중부권의 개발촉진이 그 목적인 평택항 건설이 2단계 사업예산이 확보되지 못해 2001년 개항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는 보도다.

최근 해양수산부 자료에 의하면 기획예산처가 올해 평택항 2단계 사업인 동측 일반부두 건설에 필요한 100여억원의 예산이 삭감된데다 내년에 요청한 설계용역비 30억원의 예산마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앞으로 2~3년내에 추가로 건설비용이 확보된다 하더라도 건설기간 등을 고려할때 최소한 오는 2010년까지도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평택항 2단계 사업은 내년까지 14선석(배접안 시설)을 건설키로 돼있었으나 현재 서측부두 2선석만 건설되고 나머지 12선석은 착공조차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승공단을 비롯한 주변공단 입주예정업체가운데 상당수가 공단입주를 포기하는 사례가 나타나는 등 또다른 문제가 발생돼 자칫 아산만권역 광역개발계획 자체의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평택항의 개발은 단순하게 수출·입 물동량 처리를 위한 차원이 아니라고 본다.

60~70년대 수출 드라이브 대책과 맞물려 2차산업 위주의 제조업체들이 내륙에서 임해지역으로 이동해 왔고 서울을 중심으로 수요·공급이 이뤄짐으로써 수도권 팽창과 경인·경부축이 집중화되는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음을 볼때 평택항 개발은 아산만권 광역개발의 핵심사업으로서 중부권과 호남권까지를 연계한 국토균형발전의 지정학적 요충지라 할 수 있다.

 평택항 인근에는 지금 너도나도 떠나고 있는 공단입주 예정업체뿐만 아니라 지자체가 시행하는 지방산업단지, 택지개발을 통한 배후도시 건설 등 각종 사회간접자본(SOC)시설이 들어서는 국가적 요충지이기도 하다.

평택항의 개발지연으로 파생되는 문제들은 이같은 SOC 시설의 활용도를 저하하고 국가재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같은 문제를 없애기 위해서는 차질없는 평택항만 건설을 위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