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포드사가 대우자동차 인수를 포기함에 따라 대우차 처리문제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면서 우리 경제에 엄청난 타격을 미칠것으로 우려된다. 가뜩이나 어려운 우리 경제가 포드사의 대우차 인수포기 선언으로 또다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것이다. 대우차 매각은 단순히 한개 회사를 정리한다는 차원이라기 보다 그동안 우리경제의 발목을 잡아왔던 대우사태의 큰 줄기를 해결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었지만 매각차질로 우리 경제는 또다시 심한 요동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달초 발표한 '국정 2기 경제운용 월별 추진계획'에서 9월중 포드와 대우차 매각계약을 체결하는 등 오는 11월까지 대우 워크아웃 12개사의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이 모든것이 사실상 수포로 돌아갔다. 이로서 채권금융기관들은 대우차에 대한 월 1천억원으로 추정되는 운용자금 지원 등 추가 부담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대우차 매각 대금이 당초 포드측 제시금액인 70억달러로 결정됐더라면 금융권의 차입금에 대한 손실률은 43%에 불과,은행권이 추가 부담해야 할 금액은 미미하지만 향후 협상에서 매각 대금이 50억달러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금융권 차입금에 대한 손실률은 무려 60%를 웃돌아 8천억원의 대손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것이다.
하지만 더욱 우려되는 것은 대우차 매각이 지연될 경우 대우차에 대한 자금 수혈로 금융권의 부실로 이어질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대우차에 올 상반기 5천 200억원의 운영자금이 투입되고 7월 이후에도 3천 100억원등 지난해 8월 대우차가 워크아웃에 들어간 후 무려 1조 4천억원이 투입됐다. 또 앞으로 6개월이 지연되면 손실이 더 발생하고 이는 고스란히 채권단의 부담이 된다. 이는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는 은행권들은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되고 결국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정부가 고민에 빠진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지금 왜 정부가 당시에 포드 1개사와 단독협상을 벌였느냐는 비판은 무의미하다. 어차피 매각이 원점으로 돌아간 이상 정부와 채권은행단은 지혜를 모아 이를 슬기롭게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일부에서 대우차를 공기업화하자는 의견도 있지만 이 경우 시간에 쫓겨 헐값에 매각해 쏟아지는 비난은 당장 모면할 수 있으나 투입되어야 할 자금이 워낙 커 신중하게 생각되어야 한다. 정부와 채권단은대우차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되 실리를 취할수 있는 묘책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