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차 노조가 인력을 포함한 광범위한 구조조정에 합의, 대우차 회생의 첫 번째 실마리가 풀린것은 다행이다. 이로써 ‘대우차 법정관리 결정’‘채권단의 자금 지원’ 등 후속조치가 잇따를 전망이어서, 대우차 사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이번 합의는 앞으로 예정된 공기업 구조조정을 포함, 기업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노조가 인력감축에 동의한 선례를 남겼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그러나 아직도 넘어야 할 산은 한 둘이 아니다. 우선 뼈를 깎는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대우차측은 3천500명의 인력감축을 선언했지만, 이 정도로 경쟁력을 갖추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기 때문에 인력감축 논의 과정에서 노조가 반발할 경우 합의안이 자칫 휴지조각이 될 수도 있다.
 두번째는 대우차 처리가 계속 지체되면 부품업체의 공멸우려가 높아진다는 점이다. GM이 대우차를 인수하더라도 부품업체가 없으면 공장 가동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하루라도 빨리 법정관리 개시 결정이 내려져 기존의 대우 진성어음을 새로운 어음으로 교환해야 협력업체들이 연말에 무더기 부도사태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세번째는 채권단의 자금지원 여부다. 대우차는 연말까지 최소한의 운영자금으로 6천530억원이 필요하다고 한다. 대우차 채권단은 노조의 구조조정 동의를 전제로 조만간 회의를 소집, 대우차 지원문제를 논의할 예정이어서 이 문제는 일단 긍정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긴하다. 어떤 이유에서든지 차질이 있어선 안될 일이다. 변수는 또 있다. GM과의 매각 협상이다. GM은 현재 대우차 처리 진행상황을 지켜보면서 협상에 임하겠다는 유보적인 입장이다. GM이 인수를 포기하는 최악의 경우, 대우차는 청산의 길을 밟을지도 모르는 운명에 놓일수도 있다. 따라서 이에대한 대책도 별도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뿐만이 아니다. 대우차는 공장가동이 오랫동안 중단되면서 시장의 신뢰를 잃어버린게 사실이다. 당장 급감한 판매량을 시급히 회복해야 할 절대절명의 과제를 안고 있다. 더욱이 판매량의 약 70%를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대우차는 부도 이후 해외시장이 붕괴되는 등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는 상태다. 대우차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부담을 감안하면 산적한 이런 문제들의 해결은 최대한 빠를수록 좋을 것이다. 국민부담이 더 이상 커지지 않도록 노조를 포함해 각 부문이 하루빨리 머리를 맞대고 후속 조치를 마련하길 당부한다.